한국국학진흥원, 근·현대 창작된 장편 기행가사 현대어 번역본
청량산유산록·관해록·종반송별(송별답가)·관해가 등 5편 수록
한국국학진흥원은 근·현대 시기에 창작된 장편 기행가사 다섯 편을 현대어로 번역해 '어와 벗님네야 구경가자'를 출간했다.
이는 한국국학진흥원에서 소장하고 있는 내방가사를 현대어로 번역하여 단행본으로 발간한 첫 사례다.
'어와 벗님네야 구경가자'에는 여성들의 여행담을 가사로 써 내려간 '청량산유산록', '관해록', '종반송별(송별답가)', '관해가'등 총 5편의 내방가사를 수록했다.
가사의 운율과 정취를 살리면서 일반 독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현대어로 번역하였고, QR코드를 통해 디지털 원문도 열람할 수 있도록 했다.
또한 원문을 그대로 수록하고 상세한 주석을 담은 교주본과 원문 영인을 실어 학술적 활용도까지 높였다. '어와 벗님네야 구경가자'를 통해 여성의 눈으로 본 근·현대 시기의 여행담을 음미해 볼 수 있다.
20세기에 들어서며 여성들은 '내방'이라는 제한된 공간에서 벗어나 자유롭게 세상을 여행할 수 있게 됐다.
경북 지역의 여성들은 바깥 세상에서 보고 들은 것을 내방가사로 노래하듯 써 내려갔다.
봉화의 청량산과 영덕의 바다를 보며 느낀 자연 경관의 아름다움, 경성·인천·포항 등 근대 도시에서 느낄 수 있는 생동감, 기차·화륜선·백화점 같은 새로운 문물에 대한 경탄에 이르기까지 내방가사에는 당대 여성들이 마주했던 세상이 생생히 묘사되어 있다.
내방가사는 한글이 아직 널리 사용되지 않던 시기에 여성들이 자신들의 일상과 감정을 한글로 기록하며 발전시킨 문학이다.
남성 중심의 사회 속에서 소외됐던 당시 여성들의 삶을 이해할 수 있는 역사적 자료이기도 하다. 내방가사 등 한글 문학의 재조명은 전통의 계승을 넘어 한글 문화 산업의 든든한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국학진흥원 관계자는 "'어와 벗님네야 구경가자' 출간을 통해 보다 많은 사람들이 내방가사를 접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됐다. 향후에도 내방가사 등 한글 고전문학을 현대어로 꾸준히 번역하고 출간하여 누구나 쉽게 감상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