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의료기관으로서 신뢰 회복 시급
보훈정신 선양과 조직혁신 필요
경상북도의회 행정보건복지위원회는 지난 11일 안동의료원과 경상북도호국보훈재단을 대상으로 2025년도 행정사무감사를 실시했다. 이날 위원들은 안동의료원의 경영 악화, 조직 침체, 공공성 약화 문제를 집중적으로 지적하며 근본적인 혁신을 촉구했다.
박영서 도의원(문경)은 "의료원의 재정 적자가 2023년 38억 원, 2024년 49억 원, 올해는 57억 원으로 매년 확대되고 있다"며 "지속적인 적자 구조를 개선하지 못한다면 의료원의 존립이 위태로울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일부 의사의 겸직 금지 의무 위반 의혹과 공모사업 참여 부진을 언급하며 "내부 혁신과 관리감독 강화, 공모사업 확보를 통한 자립 기반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도기욱 도의원(예천)은 신규 환자 비율이 5% 이내에 머물고 병상 이용률이 낮은 현실을 꼬집었다. 그는 "환자의 80% 이상이 55세 이상 고령층으로 구성되어 있다"며 "도청신도시 이전이 현실화될 경우 젊은 환자층 유입과 진료 수요 확대가 가능할 수 있으므로 합리적인 이전 검토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임기진 도의원(비례)은 "올해 의약품 구매 방식이 '성분별 단가총액입찰제'에서 '품목별 단가총액입찰제'로 바뀐 이유가 불분명하다"며 절차의 투명성 부족을 문제 삼았다. 그는 "외부에서 문제 제기가 있기 전 내부에서 인식조차 하지 못했다는 것은 심각하다"며 "법과 원칙에 따른 투명한 집행과 재발 방지대책 마련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배진석 도의원(경주)은 "안동의료원이 조직 전반적으로 매너리즘에 빠져 있다"며 "2015년 비상경영체제를 선언했지만 10년이 지난 지금도 개선된 점이 없다"고 질타했다. 그는 겸직 위반, 물품관리 소홀, 보조금 부정수급 등 징계 사유를 언급하며 "청렴성이 확보되어야 도민의 신뢰를 회복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권광택 위원장(안동)은 "조직 구성원의 노력은 보이지만 여전히 분위기가 침체돼 있다"며 "원장이 중심이 되어 의료원을 새롭게 이끌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산부인과, 분만, 어린이재활 등 필수의료를 강화하고 도청신도시 이전 논의에 맞춰 공공의료기관으로서의 역할과 방향을 함께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진행된 경북호국보훈재단 감사에서 재단의 조직 내실화와 보훈정신 선양을 위한 실질적 혁신을 요구했다.
백순창 도의원(구미)은 "나라를 위한 희생과 헌신을 기리는 기관인 만큼 조경 식재 시 무궁화나 소나무 등 우리 고유 수종을 활용해야 한다"며 "이는 재단의 정체성과 맞닿은 상징적 행위로 애국심을 고취할 수 있는 계기가 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국토대장정 관련 민원 대응 미흡을 지적하며 "도민 민원에 세심히 대응해 신뢰받는 기관이 되어야 한다"고 당부했다.
배진석 도의원은 "재단이 예전과 비교해도 뚜렷한 변화가 없다"며 "경영평가에서 사업별 성과목표가 구체적이지 않고 도정목표와의 연계성도 부족하다"고 비판했다. 그는 "조직·인사관리 부문 등급이 낮은데도 개선 노력이 보이지 않는다"며 "사명감 회복과 내부 기강 확립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윤승오 도의원(영천)은 "작년 감사에서 홈페이지와 SNS 명칭 변경 미이행을 지적했는데 최근에서야 수정됐다"며 "기본적인 관리부터 철저히 해야 한다"고 했다. 그는 또 "독립운동 선양사업이 단순 서사 전달을 넘어 체험과 공감 중심으로 전환돼야 한다"며 디지털 독립운동 플랫폼 구축과 역사탐방길 조성 등 참여형 콘텐츠 확충을 제언했다.
김일수 부위원장(구미)은 "도내 호국보훈 관련 시설 순회 방문 계획이 이행되지 않았다"며 "재단이 독립운동가 및 보훈행사에 적극 참여해 존재 이유를 보여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퇴사율이 높은 상황에서 인력 증원 요구는 설득력이 부족하다"며 "낮은 급여와 근무환경 개선, 직원 소통 강화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