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목! 대구경북 혁신기업] 홍정호 바이오링크 대표 "AI-의료 서비스 연결, 빅테크로 거듭날 것"

입력 2025-11-12 14:26:45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홍정호 바이오링크 대표가 자사의 헬스케어 플랫폼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그는 기술의 확장을 통해 더 많은 환자가 혜택을 보는 의료 환경을 조성하겠다고 강조했다. 정우태 기자
홍정호 바이오링크 대표가 자사의 헬스케어 플랫폼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그는 기술의 확장을 통해 더 많은 환자가 혜택을 보는 의료 환경을 조성하겠다고 강조했다. 정우태 기자

"본업에 집중하면 한 사람을 살릴 수 있지만, 기술을 확대하면 더 많은 사람을 살릴 수 있을 것이라고 확신합니다."

헬스케어 기업 '바이오링크'를 이끄는 홍정호 대표는 두 가지 일을 병행하는 이유를 묻자 이렇게 답했다. 홍 대표의 본업은 계명대 동산병원 신경과 교수다. 병을 치료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예방을 통해 건강한 삶을 유지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는 신념이 창업으로 이어졌다.

인공지능(AI) 기술이 급속히 발전하면서 AI와 의료 서비스를 잇는 움직임이 활발하다. 홍 대표는 방대한 데이터에 AI를 접목해 가장 적절한 치료·예방을 제시하는 글로벌 테크 기업으로 성장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혁신 AI 의료 플랫폼

현재 바이오링크의 주력 설루션은 ▷AI 모델 기반 뇌경색 환자 예측 보조 소프트웨어 '뉴로캐스트'(NeuroCast) ▷AI 모델 기반 흉부 단층촬영(CT) 분석을 통한 폐암 발병 예측 소프트웨어인 '루카캐스트'(LucaCast) ▷환자 임상정보를 기반으로 재활시설·요양병원 매칭을 돕는 '케어링크'(CareLink) 등이 있다.

뉴로캐스트는 환자에게 맞는 치료를 선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홍 대표는 "뇌경색 환자 7명 가운데 1명은 치료를 해도 호전이 되지 않는다. 고강도 치료를 하게 되면 부작용이 우려돼 모두에게 같은 치료를 할 수 없는 현실"이라며 "뉴로캐스트를 활용해 환자에게 적절한 치료를 할 수 있다면 위험이 확실히 줄어들 것"이라고 했다.

루카캐스트는 폐암 발병 가능성을 조기에 예측하는 데 활용된다. 그는 "폐암 사망률이 높은 것은 이미 진단을 받았을 때 늦은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아쉽게도 현재 폐암의 조기 진단률은 15% 내외이며 약 40%는 4기에 진단을 받는다"면서 "루카캐스트는 향후 5년 이내 폐암 발병 확률이 어느 정도 되는지 예측할 수 있다"고 했다.

이어 "폐암도 조기 진단이 가능하다면 생존률이 훨씬 높다. 국가 차원에서도 의료보험 부담을 경감하는 효과도 있다"고 덧붙였다.

케어링크는 고령화가 진행되면서 새로운 수요가 창출되고 있다. 환자와 보호자 입장에서 원하는 의료시설을 찾아 빠르게 전원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홍 대표는 "병원에서 치료를 받고 재활시설 등으로 옮길 때 추천을 해 달라는 요청을 많이 받는다. 하지만 병원마다 어떤 특장점을 지니고 있는지 모르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투석, 언어재활 등 필요한 사항도 모두 다르다"면서 "케어링크는 중간 단계에서 환자의 판단을 돕는 역할을 할 수 있다"고 했다.

또 "적절한 시기에 재활을 받지 못하면 병이 악화될 가능성이 높다. 특성을 고려해 알맞은 치료를 제때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면서"병원과 환자를 잇는 서비스를 확대하는 데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고 부연했다.

◆사람을 살리는 기술

AI 플랫폼을 개발·운영하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한 요소는 단연 데이터다. 다만 다양한 규제의 장벽이 존재한다고 홍 대표는 짚었다.

그는 "의료 데이터는 다수의 법률이 상충하는 지점에 있다. 인허가 영역에서도 제약이 적지 않다"면서 "스타트업 생태계에 들어와 보니 속도가 참 중요하다는 걸 깨달았는데, 헬스케어 분야는 이를 누리지 못하는 것 같다. 정책적으로 지원을 강화하고 지원 및 인허가 기관에 전문 인력을 확충한다면 헬스케어 혁신이 한층 가속화 될 것"이라고 했다.

메디시티를 표방하는 대구의 창업 생태계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평가를 내놨다.

홍 대표는 "창조경제혁신센터, 대구스케일업허브(DASH) 등 초창기 의지할 수 있는 기관이 버팀목이 되고 있다. 헬스케어 분야는 타지역에 비해 상급종합병원이 많다는 점도 강점이다. 뿌리를 내리는 과정에서 보면 좋은 환경"이라면서도 "다만 투자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수도권을 오가는 노력이 필요하다. 지역에서도 투자자와 접점을 넓힐 수 있다면 좋겠다"고 했다.

헬스케어 기술 확장에 대한 의지도 피력했다. 그는 "내 눈 앞에 환자를 살리고 축적한 데어티를 바탕으로 연구에 집중하는 게 과거 의사의 덕목이었다. 하지만 시대가 변했고 더 많은 환자가 혜택을 누릴 수 있는 고민이 요구된다"면서 "의료 서비스는 결국 환자를 위한 것이기에, 환자에게 가장 잘 맞는 치료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기술을 개발하고 시스템을 정립하면 더 많은 환자를 살릴 수 있다고 확신한다"고 말했다.

향후 목표를 묻는 질문에 홍 대표는 "AI와 의료를 연결하는 바이오 빅테크 기업으로 발돋움 하는 것"이라며 "대구의 이름을 높이는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하겠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