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독률 높지만 절반은 여전히 약품 소독
"연 1회 소독도 있어"…관리주기 불균형
경상북도의회 박용선 도의원(포항·국민의힘)은 지난 7일 열린 2025년도 경상북도교육청 행정사무감사에서 "놀이시설 소독이 거의 전면 시행되고 있지만, 여전히 절반 이상이 약품 소독 방식에 머물러 있다"고 지적했다.
박 도의원에 따르면 올해 도내 유치원·초등학교 놀이시설 소독률은 98.9%에 달했다.
그러나 소독 방식별로 보면 약품 소독이 50.4%로 가장 많았고, 고온스팀 소독은 16.8%, 두 방식을 병행하는 곳은 23.5%였다. 친환경 전환이 요구되는 상황이지만, 고온스팀 방식 등을 포함한 친환경 소독 비율은 40.3%에 그쳐 여전히 낮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놀이시설 소독 주기 또한 학교별로 차이가 컸다.
일부 학교는 반기 1회(1.8%) 또는 연 1회(2%)만 소독을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박 도의원은 "아이들이 하루에도 수차례 사용하는 놀이시설을 연 1회 소독한다는 것은 현실을 반영하지 못한 관리"라고 비판했다.
박 도의원은 지난해에도 약품 소독의 잔여물 위험성과 소독제 사용 제한 문제를 지적하며 고온스팀 등 친환경 방식으로의 확대를 요구한 바 있다.
그러나 1년이 지나도 전환율이 절반에 미치지 못한 데 대해 그는 기준 부재, 예산 부족, 학교별 관리 부담 등의 구조적 문제를 짚었다.
박 도의원은 "이제는 '소독을 했느냐'보다 '어떤 방식으로 했느냐'가 관리의 핵심 기준이 되어야 한다"며 "교육청이 친환경 소독 방식 전환을 위한 명확한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고, 학교 현장의 실질적 이행을 이끌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