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주시, 선비정신의 뿌리를 되새긴다.

입력 2025-11-10 15:34:30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제4회 영주선비정신 확립 학술대회 개최… 시민 누구나 참여 가능

지난해 열린 학술대회 모습. 영주시 제공
지난해 열린 학술대회 모습. 영주시 제공

조선의 맥을 잇는 선비정신의 뜻을 되새기는 뜻 깊은 자리가 마련된다.

영주시는 오는 14일 오후 2시 영주상공회의소 3층 강당에서 부용계(芙蓉契, 도유사 금춘) 주관으로 '제4회 영주선비정신 확립 학술대회'를 마련한다.

이번 학술대회는 조선 선비들의 학문과 덕행 속에 깃든 정신을 현대적으로 조명하고, 영주의 인문학적 자산을 시민과 함께 나누기 위해 마련됐다.

예로부터 영주는 성리학의 시조 안향 선생을 비롯, 최온·박승임·황준량·김민 등 도의와 학문으로 이름을 떨친 인물들을 배출한 유교문화의 본향이다.

학술대회는 개회식을 시작으로 세 편의 주제 발표에 이어 허태용 충북대학교 교수의 "화포 홍익한의 생애와 척화론"을 주제로, 송치욱 인제대학교 연구교수가 "녹야당 장진의 시대와 삶"을 주제로, 김종구 경북대학교 전임연구원이 "오수 김강의 춘추대의와 가문 의식"을 주제로 발표한다.

발표 이후에는 발표자와 청중이 함께 나누는 담론이 마련돼, 시민 누구나 선비정신의 뜻을 함께 음미할 수 있다.

이번 학술대회는 사전 신청 없이 무료로 참여 가능하며, 영주의 선비정신에 관심 있는 시민 누구나 참석할 수 있다.

김호정 선비인재양성과장은 "선비의 고장에서 펼쳐지는 이번 학술대회가 선현들의 뜻과 품격을 다시금 되새기는 소중한 시간이 되길 바란다"며 "영주의 선비정신을 이어가는 시민들의 많은 관심과 참여를 기대한다"고 전했다.

한편, 부용계(芙蓉契)는 약 400년 전, 영주 지역에서 사마시(司馬試)에 합격한 진사 27인과 생원 28인 등 55명의 선비들이 결성한 유서 깊은 모임으로 후손들이 그 정신을 이어받아 영주의 선비정신을 계승하고 학문과 예의의 전통을 지켜가는 학술 활동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