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韓 성장률 전망치 2%…0.1%p 상향
해외 주요 투자은행(IB)들이 내년 한국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잇따라 상향 조정하고 있다. 글로벌 경기 둔화 우려 속에서도 반도체와 자동차 등 수출 중심 산업의 회복세가 이어질 것이란 기대감이 반영된 결과다.
6일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주요 IB 8곳이 제시한 한국의 2026년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는 지난달 말 평균 1.9%로 집계됐다. 이는 한 달 전인 9월 말(1.8%)보다 0.1%포인트(p) 상승한 수치다.
이번 평균치 상승은 씨티(Citi)가 기존 1.6%에서 2.2%로 전망을 크게 높인 데 따른 영향이 컸다. 씨티를 포함해 JP모건과 골드만삭스도 2.2% 성장을 예상하며 '2%대 회복'을 공통적으로 제시했다. 노무라는 1.9%, UBS는 1.8%, 바클리는 1.7%로 각각 전망했다. 뱅크오브아메리카(1.6%)를 제외한 대부분 IB들이 한국은행의 기존 전망(1.6%)을 웃돌았다.
올해 성장률이 평균 1.0%로 예상되는 점을 고려하면, 향후 1년 새 성장 속도가 배 가까이 높아질 것이란 관측이다. JP모건은 지난 9월 내년 성장률 전망을 2.1%에서 2.2%로, HSBC는 1.6%에서 1.7%로 각각 상향했다.
IB들은 특히 수출 부문을 낙관적으로 봤다. 주요 8개 IB의 내년 우리나라 GDP 대비 경상수지 비율은 평균 5.3%로, 9월 말(4.7%)보다 0.6%p 상승했다. 씨티는 4.4%에서 7.1%로, 노무라는 3.9%에서 6.6%로 상향 조정했다. 반면 골드만삭스는 6.6%에서 6.0%로 낮췄지만, 전반적인 평균치는 오히려 올랐다.
이는 미국의 관세 인상 등 대외 리스크에도 불구하고 반도체 경기 반등과 자동차 수출 호조가 지속될 것으로 본 결과다. 특히 글로벌 AI 투자 확산으로 서버용 반도체와 데이터센터 수요가 늘어나면서 한국 수출의 하방 리스크가 완화될 것으로 평가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