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대 의료재활학과, AI 기반 스마트 로봇팔로 전국 학부생 논문경진대회 대상

입력 2025-11-06 09:01:00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상지 움직임 제한된 휠체어 사용자를 위한 AI 스마트 로봇팔 개발
11명 학생이 개발한 로봇팔, 저비용·경량화로 접근성 높여

대구대 의료재활학과 학생들이 한국재활복지공학회 학부생 논문경진대회에서 대상을 수상하고 있다. 대구대 제공
대구대 의료재활학과 학생들이 한국재활복지공학회 학부생 논문경진대회에서 대상을 수상하고 있다. 대구대 제공

기술이 장애의 벽을 허물었다. 대구대 의료재활학과 학생들이 AI와 재활공학을 융합한 스마트 로봇팔을 선보여 전국 논문경진대회에서 대상을 차지했다. 움직임의 제약을 기술로 넘은 그들의 도전이 주목받았다.

대구대학교(총장 박순진)는 최근 의료재활학과 학생들이 인공지능(AI)과 재활공학을 융합한 혁신 연구로 '제19회 한국재활복지공학회 학부생 논문경진대회'에서 대상을 수상했다고 6일 밝혔다.

이번 학술대회는 지난달 31일 전북대학교 JBNU컨벤션센터에서 '지속가능한 재활복지기술의 미래: Physical AI·돌봄로봇·XR 재활 융합'을 주제로 열렸다.

대구대 의료재활학과 학생들은 상지 움직임이 제한된 휠체어 사용자를 위한 AI 기반 스마트 로봇팔 시스템을 직접 설계·제작해 전국 대학 중 최고 평가를 받았다.

수상 팀은 김도협, 김무승, 공민승, 이주환, 김현준, 이성희, 손민경, 서지민, 이순형, 송현준, 홍설연 등 의료재활학과 학생 11명으로 구성됐다.

이번에 개발된 스마트 로봇팔은 모듈형 설계로 편의성과 기술적 우수성을 확보했으며, 스마트폰 앱과 연동돼 사용자가 터치만으로 컵을 잡거나 버튼을 누르는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작됐다.

특히 저비용·경량화 설계를 통해 장애인과 고령층 등 기기를 필요로 하는 사람들의 접근성을 높였다는 점에서 심사위원단의 호평을 받았다.

대구대 의료재활 시스템 연구실 학부생 대표 김도협 학생(의료재활학과 4학년)은 "연구 과정에서 여러 시행착오가 있었지만, 팀원들과 함께 끝까지 해결해 나가며 성장할 수 있었다"며 "함께해 준 팀원들과 아낌없는 지원을 해주신 교수님께 감사드린다"고 말했다.

송병섭 재활과학대학 학장(의료재활학과 교수)은 "이번 수상은 단순한 기기 개발을 넘어 장애인과 노약자의 실제 생활 불편을 기술로 해결하려는 시도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며 "학생들이 직접 설계와 제작 전 과정을 경험하며 문제 해결 능력과 협업 능력을 키운 점을 높이 평가한다"고 말했다.

한편, 대구대 의료재활학과는 재활로봇, 헬스케어 센서, AI 모션 분석, 메타버스 기반 재활훈련 시스템 등 '스마트 재활' 교육과 연구를 강화하고, AI 기반 의료재활 솔루션 개발과 현장 중심형 교육을 결합한 융합 인재 양성에 나설 계획이다.

대구대 의료재활학과, 스마트 로봇팔 휠체어 사진
대구대 의료재활학과, 스마트 로봇팔 휠체어 사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