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과방위) 수장인 최민희 위원장 딸 결혼식 논란을 계기로 최 위원장 관련 논란이 쏟아졌다. 그 가운데 하나는 "과방위 의정대상 상금을 어떻게 분배했나"였다. 올해 6월 과방위는 법제사법위원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와 함께 '우수위원회'로 선정돼 1천만원을 받은 바 있다.
정청래 법사위원장은 법사위 행정실에 전액 쾌척했다. 각 상임위엔 국회 공무원으로 이뤄진 행정실이 붙어있다. 박정 예결위원장은 1천만원을 반으로 갈라 500만원은 행정실에 쾌척하고 남은 500만원은 소속 위원 전체에게 신발 선물을 돌렸다.
이들의 분배는 행정실과 상임위 소속 위원에게 골고루 나눠주는 형식이었지만 최 위원장은 달랐다. 매일신문 취재에 따르면 교섭단체 간사실엔 100만원이, 민주당 소속 위원 일부에겐 각 65만원이 전달됐다. 하지만 간사 제외 국민의힘 소속 위원과 조국혁신당·개혁신당 소속 위원에겐 전달되지 않았다.
이를 토대로 역산하면 교섭단체 두 곳 간사에겐 총 200만원이, 위원장과 간사 제외 민주당 소속 위원 9명에겐 각 65만원씩 총 585만원이 분배된 것으로 보인다. 그렇다면 215만원이 남는다. 이 돈은 어디 갔을까.
매일신문은 지난달 31일부터 닷새 동안 최 위원장과 의원실에 반복적으로 연락을 시도했다. 답은 없었다. 문자 메시지와 카카오톡 질의에도 답은 오지 않았다.
결국 매일신문은 지난 4일 오후 4시30분쯤 최민희 의원실과 과방위원장실을 직접 찾았다. 당시 비서관 등 보좌진 대부분은 외근 중이라 자리에 없었고 남아 있던 보좌진 한 명은 "모두 바깥 일정 중으로 바로 퇴근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에 매일신문은 질의 내용을 전달했다.
그래도 답은 없었다. 다음날 오전 매일신문은 다시 의원실을 방문했다. 그제야 한 보좌진은 "의정대상 상금은 위원장에게 주는 돈이다. 위원장 마음이다. 위원장이 어떻게 써도 상관없는 돈"이라며 "당시 여야 간사와 민주당 의원들, 그리고 나머지는 행정실 직원에게 나눠줬다. 국민의힘과 조국혁신당, 개혁신당에 상금이 적게 갔다고 문제 삼는다면 그건 억까(억지 비난)다"라고 말했다.
이 보좌진은 여야 간사와 민주당 의원들, 과방위 행정실 직원에게 나눠줬다고 말했으나 이는 사실과 거리가 있어 보인다. 6월18일 최 위원장 소셜미디어에 '최민희 의원실 노조위원장'이라고 하는 보좌진이 "의원님께서 의원실 몫 상금 전액을 '너네끼리 써~'하면서 직원들에게 쿨하게 쾌척해주셨다. 츤데레마냥 의원실 직원들을 생각하는 따뜻한 마음이 느껴져 뭉클했고 감사 인사 드린다"는 글이 올라온 바 있기 때문이다.
◇'보좌진 갑질 논란' '딸 스펙 쌓아주기 의혹'엔 묵묵부답
최 위원장의 상금 분배에 대한 답을 받았지만 나머지 질의에 대해선 답을 받을 수 없었다.
매일신문이 최 위원장 측에 답변을 요청한 건 두 가지 사항이었다. 하나는 지난달 30일 국회 과방위 종합국정감사에서 나온 논란이었다. 최 위원장은 당시 "최 위원장이 피감기관인 방송통신심의위원회(방심위)를 상대로 '갑질'을 했다"는 한겨레 기사에 대해 신상발언을 했다. 신상발언 중 최 위원장이 공개한 PPT 화면에는 최 위원장 보좌진과 '방심위 국회협력관'과의 7월8일자 카카오톡 내용이 담겼다.
문제는 최 위원장 보좌진이 방심위 측에 '반말'을 사용했다는 점이었다. 최 위원장 보좌진은 고발뉴스TV 영상 링크를 방심위 측에 보내며 "이거 우리가 방심위에 신고하면 뭐 뭐가 됨? 뭐가 됨? 어케 뭘 신고해야 함?"이라고 했다. 그러자 협력관은 "우선 먼저 이야기 드릴 건요. 현재 위원이 2인만 있어서 심의가 진행되지 않습니다"라고 했다.
이후에도 보좌진은 반말로 협력관에게 "1. 방심위 일단 위원이 2명뿐이라 심의가 진행되지 않음. 2. 방심위는 민원이 접수되지 않은 사안에 대하여 가짜뉴스라거나 해당 내용이 사실이 아니라는 이유로 심의를 하지 않음. 3. 때문에 당사자가 먼저 명예훼손 등으로 심의를 신청해야 함. 4. 그런데 다시 1번으로 돌아가서 현재 심의가 진행되지 않음. 5. 참고로 저런 영상들은 심의할 때마다 논란이 있어서 방심위는 조심스러운 입장"이라며 "이거임?"이라고 답을 요구했다.
매일신문은 도대체 누가 반말을 했으며 왜 그랬는지에 대한 질의와 함께 최 위원장의 '딸 스펙 쌓아주기 의혹'에 대해서도 물으려 했다. 2017년 12월 남양주시민회가 주최한 '선거권 연령 하향이 필요한가'라는 주제의 발표회에서 당시 고교 2학년이던 최 의원 딸이 대상을 받았는데 심사위원장은 최 의원과 같은 민주당 소속의 김광진 전 의원이었고 최 의원은 지역위원장 자격으로 행사에 함께 참석했었다.
이를 주관한 건 남양주신문사였다. 이 내용은 대서특필 됐지만 언론 취재가 시작되자 기사는 내려간 바 있다. 이를 두고 "자녀가 참가한 대회에 지역위원장으로 참석하고 심사위원장이 민주당 소속 전직 의원이라는 건 자녀 스펙 쌓기 품앗이로 보일 수 있지 않느냐"는 말이 나와서였다.
최 위원장과의 통화는 불가능했다. 최 위원장은 카카오톡 질의 역시 확인만 할 뿐 답을 하지 않았다. 매일신문이 직접 찾아가자 최 위원장 보좌진은 4일 "직원이라 모른다. 처음 듣는 얘기다. 의원 님께 말씀은 드리겠지만 답을 따로 하실지는 모르겠다"고만 했다.
다음날 다시 찾았을 때 보좌진은 의정대상 상금 분배 관련 답변만 한 뒤 추가 질의에는 "우린 어떠한 취재에도 응하지 않기로 했다. 그냥 나가주시면 될 것 같다"고만 했다. 어떤 질의에도 "당사자가 아니라 모른다" "대답하지 않겠다" "입장이 없다"는 말만 돌아왔다.
매일신문은 '타 언론사를 포함 모든 언론의 질의에 응하지 않겠는다는 의미냐'고 물었다. 최 위원장 보좌진은 이에 대해 "어떻게 대답해도 기사가 악의적으로 나가니 답하지 않기로 했다. 이것도 대답이 아니다. 그냥 나가 주시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