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18% 늘어 963건…서울은 78% 급감
부동산 규제 피해 지방 이동 '풍선효과'
정부의 10·15 부동산 대책 발표 이후 지방 대도시의 아파트 거래량이 뚜렷하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을 중심으로 강화된 규제가 거래를 위축하면서 상대적으로 규제 강도가 낮은 지방 시장으로 수요가 이동하는 현상이 뚜렷해지고 있다.
2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정부가 부동산 규제 방안을 내놓은 지난달 15일 이후 16일간(10월 16~31일) 대구의 아파트 거래량은 963건으로 집계됐다. 이는 직전 16일(9월 30일~10월 15일) 816건보다 18.01% 증가한 수치다.
같은 기간 5대 광역시와 세종시의 전체 거래량은 3천723건에서 4천520건으로 21.41% 늘었다. 지역별로 보면 광주가 41.42%로 가장 큰 폭의 증가세를 보였고 울산(29.09%), 부산(22.81%), 세종(18.35%), 대전(2.22%) 순으로 뒤를 이었다.
반면 서울은 5천389건에서 1천188건으로 거래가 급감하며 무려 77.97%의 감소율을 기록했다. 이는 정부의 고강도 대출 제한 등으로 실수요자뿐 아니라 투자 심리까지 위축된 결과로 풀이된다.
부동산 업계는 서울에 집중됐던 부동산 투자 흐름이 정부의 잇따른 고강도 부동산 규제 정책을 피해 지방 대도시 등으로 이어질지 주목한다. 부동산 규제로 인해 서울, 수도권에 내 집 마련의 문턱이 높아졌지만 상대적으로 규제에서 자유로운 지방 시장에 수요가 몰리는 '풍선효과'가 나타나고 있어서다.
대구 부동산 업계 관계자는 "서울과 수도권에 주택 구매가 어려워진 상황에 대체할 수 있는 상품을 찾다 보니 5대 광역시와 같은 대도시를 찾는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다"며 "부동산 침체를 오랜 기간 겪는 대구는 여전히 100주 연속 가격이 하락하는 국면에 처해 있으나 전세 가격이 상승하는 데다 일부 지역에선 이미 가격 반등이 일어나고 있어 앞으로 시장 변화에 주목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