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EC 무대 오른 디지털자산… 두나무 '퓨처테크포럼' 주최

입력 2025-10-30 17:56:47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오경석 대표 "디지털자산, 기술·시장·사람 잇는 다리"

30일 경주예술의전당 원화홀에서 열린
30일 경주예술의전당 원화홀에서 열린 '퓨처테크포럼 디지털자산'에서 마이클 케이시 MIT 미디어랩 디지털 화폐 이니셔티브 수석 고문이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두나무 제공

국내 디지털자산 기업인 두나무가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CEO 서밋의 공식 부대행사 '퓨처테크포럼: 디지털자산'을 주최하며, 디지털자산이 글로벌 금융과 산업의 주요 의제로 격상됐음을 상징적으로 보여줬다. 전통 제조·기술 중심의 논의 무대였던 APEC에서 가상자산이 단독 주제로 다뤄진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두나무는 30일 경북 경주예술의전당 원화홀에서 열린 'APEC CEO 서밋 코리아 2025'의 공식 부대행사 '퓨처테크포럼: 디지털자산(Future Tech Forum: Digital Asset)'을 통해 글로벌 금융 질서 속 디지털자산의 새로운 위상을 제시했다. 전통 제조·무역 중심의 의제가 주류를 이뤄온 APEC에서 디지털자산이 별도 세션으로 채택된 것은 산업 지형의 변화가 가속화되고 있음을 상징한다.

이번 포럼의 주제는 'Connecting the Future of Finance(미래 금융을 연결하다)'였다. 금융·기술·정책 분야의 글로벌 리더들은 AI와 스테이블코인 등 디지털자산이 만들어갈 새로운 금융 생태계를 조망했다. 오경석 두나무 대표는 개회사에서 "디지털자산은 기술과 금융, 시장과 사람을 잇는 다리이자 연결의 혁신"이라며 "이번 포럼은 미래 금융 질서를 함께 설계하는 출발점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기조연설을 맡은 마이클 케이시 MIT 미디어랩 수석고문은 "AI와 프로그래머블 화폐의 결합은 글로벌 금융 시스템의 대전환을 예고한다"며 "디지털자산은 단순한 자산 거래를 넘어 사회 전반의 신뢰 구조를 재설계할 것"이라고 말했다.

패널 토론에서는 디지털자산의 제도화와 '포용금융'(Financial Inclusion)이 핵심 의제로 다뤄졌다. 첫 번째 세션에서는 스테이블코인의 국제적 활용과 규제 균형을 주제로 루 인 솔라나 재단 총괄, 폴 블루스타인 '킹달러' 저자, 마이클 케이시 등이 참여했다. 이들은 "스테이블코인은 국경을 넘는 신뢰의 기반"이라며 "글로벌 금융의 구조적 혁신을 이끌 기술적 열쇠"라고 입을 모았다.

두 번째 세션에서는 아시아개발은행(ADB)의 이사벨 채터튼 총괄과 AZA파이낸스의 엘리자베스 로시에로 CEO가 '포용금융'의 사례를 공유했다. 이들은 "기술이 은행 밖의 사람들을 연결하고, 경제 참여의 문턱을 낮추고 있다"며 디지털자산이 '포용적 금융'을 가능하게 하는 실질적 수단임을 강조했다.

마지막 세션에서는 오경석 두나무 대표, 대니 찬 마스터카드 아태지역 최고정보보안책임자(CISO), 마이클 호 아메리칸비트코인 의장이 함께 금융과 디지털자산의 융합 방향을 논의했다. 제임스 김 주한미국상공회의소 회장이 좌장을 맡은 이 세션에서는 "신뢰와 기술의 결합이 금융의 새 질서를 이끌 것"이라는 데 의견이 모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