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탄두 장착…북·미 회동 희박
트럼프 "머지않은 미래 만나자"
북한이 전 세계의 관심이 경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로 쏠린 이 시점에 또 미사일 도발을 감행했다. 북한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연이은 김정은 국무위원장과의 만남 제의에는 무응답으로 일관하면서 트럼프 대통령의 한국 입국 직전에 미사일 도발을 감행한 것은 아직 미국과 직접 대화에 나설 생각이 없다는 신호로도 해석된다.
29일 조선중앙통신에 따르면 북한 미사일총국은 28일 서해 해상에서 함대지 전략순항미사일 시험발사를 진행했다. 조선중앙통신은 "함상 발사용으로 개량된 순항미사일들은 수직발사되어 서해 해상 상공의 설정된 궤도를 따라 7천800여s(초)간 비행하여 표적을 소멸하였다"고 밝혔다. 2시간 10분간 비행한 것으로, 북한은 비행거리는 언급하지 않았다.
이날 시험발사에는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참관하지 않았다. 북한 주민이 접할 수 있는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이나 라디오 방송인 조선중앙방송 등 대내용 매체에는 실리지 않아 대외 메시지 성격임을 시사했다.
시험발사를 참관한 박정천 당 중앙군사위원회 부위원장은 "전쟁 억제 수단들의 적용 공간을 부단히 확대해 나가는 데 대한 당 중앙의 전략적 기도대로 우리 핵무력을 실용화하는 데서 중요한 성과들이 이룩되고 있다"고 언급했다.
전문가들은 이번에 북한이 시험발사한 미사일이 이달 초 평양 무장장비전시회 '국방발전-2025'에서 공개된 화살 계열 순항미사일로 추정했다. 그간 북한은 화살-1·2형에 전술핵탄두를 장착할 수 있다고 주장해 왔다. 최대 사거리는 2천㎞ 정도로 추정된다.
임을출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는 "북한이 APEC 등 정세 변화와 무관하게 핵무력 강화 노선을 견지하겠다는 메시지"라며 "북미 회동 가능성은 낮아졌다고 본다"고 말했다.
경주 APEC 기간 북미 정상 간 만남도 없을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의 미사일 시험발사에 대해 질문을 받고는 "모르겠다. 그(김정은)는 수십 년간 미사일을 발사해 왔다"며 "어느 시점에, 너무 머지않은 미래에 북한과 만나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