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9일 경주에서 열린 한미 정상회담 자리에서 한반도의 군사적 긴장 상태를 거론하며 "공식적으로 전쟁 상태라는 것을 알고 있다"며 "그 모든 것을 바로잡기 위해 우리가 무엇을 할 수 있는지 보겠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29일 경주박물관에서 이재명 대통령과 만난 자리에서 "난 우리가 합리적인 무엇인가를 할 수 있는지 보기 위해 당신, 당신의 팀, 그리고 다른 많은 사람들과 함께 매우 열심히 노력하겠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번 발언은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기간 추진했던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과의 회동이 무산되면서 나왔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와 관련해 "우리는 정말 시간을 맞추지를 못했다"며 아쉬움을 드러냈다.
그는 과거 김 위원장과의 관계를 언급하며 "난 김정은을 매우 잘 안다. 우리는 매우 잘 지낸다"고도 했다. 미국 측은 이번 방한 기간에 김 위원장과의 만남을 희망하는 메시지를 반복적으로 발신했지만, 북한 측에서 긍정적인 반응은 없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오는 30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의 회담을 예고하며 "난 그를 만나기를 기대하고 있고 이번 방문은 그게 정말 우리의 초점이었다"면서도 "우리는 다른 방문도 하게 될 것이며 우리는 상황을 바로잡기 위해 김정은, 그리고 모두와 매우 열심히 노력할 것이다. 그게 합리적이기 때문"이라고 했다.
그는 한반도 정세와 관련해 "아직 남아있는 먹구름"이라고 표현하면서 "당신과 협력해 그 하나 남은 것을 해결할 것이다. 우리가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지 보겠다"고 밝혔다.
이날 회담에서는 조선업 분야의 협력도 주요 의제로 논의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여러분들이 정말 매우 짧은 시간 안에 창조하고 이뤄낸 것들이 정말 놀랍다. (한국이) 조선업의 대가(master)가 됐기에 우리와 협력하고 있다"고 했다. 이어 그는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우리 미국은 (조선업에서) 가장 큰, 1등이었지만 이후 일련의 매우 나쁜 결정들이 있었고 관심도 부족했기에 우리는 정말 더 이상 배들을 많이 만들어내지 못했다"며 미국 조선업의 쇠퇴 원인을 지적했다.
또 "선박 건조는 필수적인 일로, 필라델피아 조선소와 미국의 다른 여러 곳에서 우리가 (함께) 일하고 있다. 여러분들이 들어와 미국에서 배를 함께 만들고 있다"며 "우리는 선박 건조를 시작할 것이고, 짧은 기간 안에 최고로 올라 설 것이며 적어도 정상권에 들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한미 관계에 대해 "우리가 특별한 유대를 가져왔다는 걸 말하고 싶다. 우리는 그것을 오랫동안 유지해왔지만, 나와 함께하는 지금처럼 강한 적은 없었다"고 언급했다. 이어 협력 분야로는 조선업 외에도 인공지능(AI)과 자동차 산업 등을 예로 들었다.
한편, 이재명 대통령은 29일 국립경주박물관에서 열린 한미정상회담 모두 발언에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회담을 요청하고, 언제든지 받아들일 수 있다고 말씀한 것 자체만으로도 한반도에 상당한 평화의 온기를 만들어내는 것"이라며 "김 위원장이 (트럼프) 대통령의 진심을 아직은 제대로 다 수용하지 못해 불발되긴 했다"고 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방한을 계기로 추진하려 했던 북미 정상회담이 불발됐다는 점을 공식화한 것이다.
이 대통령은 "김 위원장이 (트럼프) 대통령의 진정한 내심의 뜻을 수용 못 하고 이해를 못한 상태"라면서 "이것도 또 하나의 씨앗이 돼 한반도에 거대한 평화의 물결을 만드는 단초가 될 것이다. 우리로서는 큰 기대를 가지고 (트럼프) 대통령님의 앞으로 활동을 지켜보겠다"고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