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일부터 열리는 외교통상각료회의 끝나면 정상회의 결과물 도출
경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본회의(31일~11월 1일)를 앞두고 회원국 고위 실무자들이 참석하는 최종고위관리회의(CSOM)가 28일 마무리됐다.
이번 회의에는 APEC 21개 회원과 옵서버 대표단, APEC 사무국 관계자 등이 참석해 외교통상합동각료회의(AMM·29∼30일)와 정상회의(31일∼11일 1일)를 앞두고 지난 한 해의 활동 성과를 최종 점검했다고 외교부는 전했다.
외교통상합동각료회의가 끝나면 정상회의에 반영될 결과물이 도출된다. APEC은 컨센서스(만장일치) 방식으로 의사 결정이 이뤄지기 때문에 21개 회원 중 어느 한 곳이라도 반대하는 문구는 공동선언에 들어갈 수 없다.
이번 고위관리회의에는 APEC 21개 회원과 옵서버 대표단, APEC 사무국 관계자 등이 참석해 지난 한 해의 활동 성과를 최종 점검한 것으로 전해졌다.
고위관리회의는 APEC 회원들의 협력 현안을 논의하는 고위급 실무자 단계 협의체로, 매년 4회의 공식회의와 1회의 비공식회의가 열린다. 이날 회의가 마지막 협의 자리로, 한국에선 이지윤 외교부 국제경제국 심의관이 참석했다.
이번 회의에서 한국 정부는 '인공지능(AI) 협력' 및 '인구구조 변화 대응'을 대표 성과로 제시하며 그간 논의가 실질적 성과로 이어질 것을 희망했다.
고위관리들은 무역투자위원회(CTI), 경제위원회(EC), 경제기술협력위원회(SCE), 예산운영위원회(BMC), 정책지원부서(PSU) 등 APEC 주요 산하회의체의 연간 활동 결과를 점검하고 APEC 서비스 경쟁력 로드맵(ASCR) 최종 점검 보고서도 승인했다.
또 정상회의에서 결실을 맺을 수 있도록 정상회의 성과문서 문안 협의를 잘 마무리하자는 의지도 확인했다.
각국은 APEC 정상들의 공동 선언문인 '경주 선언' 문안을 최종 협의 중이다.
APEC의 본령인 다자간 자유무역 체제가 어느 때보다 위기에 처한 상황에서 '경주 선언' 내용에 관심이 쏠린다.
미국과 중국이 통상 부문에서 자국 입장을 반영하기 위해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를 조율해 모두가 동의하는 문안을 '경주 선언'에 담을 수 있느냐가 핵심 관건으로 여겨진다.
미중 관계는 최근 입항 수수료 문제와 중국의 희토류 수출 통제, 미국의 100% 추가 관세 위협 등으로 불편한 관계에 있다.
경주선언과 관련해 김진아 외교부 2차관은 이날 국회 외교통일위원회의 종합감사에서 "회원국들과 마지막 문안 조정을 하고 있는 과정에 있다"며 "APEC이 지향하고 있는 기본 원칙에 대해서 충분히 내용을 넣을 예정"이라고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