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 정부 공공기관 2차 이전 시 농협중앙회도 대상 되나?
현행법은 주된 사무소 서울에 두도록 해 균형발전과 상충
정 의원, "지역별 농가인구 등 고려해야"…농가 가장 많은 곳은 '경북'
농협중앙회 본사 위치를 정할 때 지역별 농가인구 등 농업 관련 지표를 반영하도록 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국가균형발전을 위해 수도권에 집중돼 있는 정부부처, 공공기관 등의 추가 이전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는 가운데 현행법상 농협중앙회 본사를 서울에 두도록 명시한 것은 이와 상충된다는 이유에서다.
정희용 국민의힘 의원(고령성주칠곡)은 지난 22일 이러한 취지를 담은 농협협동조합법 일부개정법률안을 대표 발의했다.
개정안은 중앙회가 주된 사무소의 소재지를 정하거나 지사무소를 둘 때 국가균형발전, 지역별 농가인구, 경지면적, 농업생산량, 농업소득, 지역농협 분포도 등을 고려하도록 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재명 정부가 수도권 공공기관의 2차 이전을 국정과제로 제시한 상황에서, 농협중앙회 본사의 경북 이전을 염두에 둔 게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전북, 전남 등 호남 정치권이 일찌감치 농협중앙회 본사 유치전에 뛰어들었으나 경북 정가에선 각종 객관적 지표를 살핀다면 경북이 최적지라고 목소리를 내왔다.
실제 정부의 '2024년 농림어업조사' 자료에 따르면 전국에서 농가가 가장 많은 시도는 경북(16만3천 가구)으로 전체 농가의 16.7%를 차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