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80여 명 안전 확인 안 돼
대구서 캄보디아 실종 건수 지난해 3건→올해 12건 급증
국내 청년들이 캄보디아로 출국한 뒤 돌아오지 못한 사례가 잇따르고 있는 가운데 현지 범죄단지에 있는 한국인이 1천명이 넘는 것으로 파악됐다. 다만 이들의 범죄 연루 여부는 구체적으로 확인되지 않은 상황으로 정부는 범죄 사실이 확인된 한국인의 조기 송환을 우선 추진키로 했다.
15일 정부 관계자 등에 따르면 최근 열린 위성락 국가안보실장 주재 캄보디어 범죄 TF 회의에서 캄보디아 내 범죄단지에 있는 한국인 규모가 공유됐다.
국가정보원은 범죄단지 내 한국인이 1천명 이상 있다고 보고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이들이 모두 범죄에 연루됐는지 여부는 명확히 파악되지 않고 있다.
외교부는 또 캄보디아에 갔다가 현재 안전이 확인되지 않는 한국인은 80여 명으로 파악하고 있다. 외교부에 따르면 캄보디아에 입국했다가 연락 두절 또는 감금됐다는 신고가 들어온 한국인 숫자는 올해 1∼8월 330명에 달한다.
대구에서도 캄보디아에 간 청년이 실종되는 사례가 크게 늘었다. 대구경찰청에 접수된 캄보디아 출국 후 실종 건수는 지난해 3건에서 올해 12건으로 대폭 증가했다. 15건 가운데 13건은 현재 국내로 돌아왔지만 나머지 2건은 아직 소재 파악이 안돼 경찰이 수사 중이다.
캄보디아 현지에서 범죄에 연루된 한국인을 국내로 송환하는 문제는 가장 시급한 과제로 남아 있다. 정부는 이들을 송환해 국내에서 수사를 진행, 추가 피해를 막겠다는 계획이지만 캄보디아 정부의 비협조적 태도가 송환의 걸림돌이 되고 있다.
정부는 지난 14일 기준 캄보디아 현지에서 범죄에 연루된 한국인 63명이 현지 교도소에 구금된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같은 날 대통령실은 "현지에 구금돼 있는 우리 국민 범죄 혐의자들을 특별 항공편을 투입해 최단 시일 내 조기 송환하는 방안을 캄보디아 관계 당국과 긴밀히 협의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이들은) 국내로 송환된 뒤 온라인 스캠범죄 연루 혐의와 관련하여 수사를 받고, 혐의가 밝혀진다면 법에 따라 조치를 받게 될 것"이라고 했다.
정부는 한국인 63명에 대한 국내 송환을 시작해 이 중 4명을 국적기 2대로 송환했다. 이들은 캄보디아 경찰의 범죄단지 단속을 통해 적발됐으며, 일부는 인터폴 적색수배가 내려진 상탣다.
경찰은 한 달 안에 나머지 59명도 모두 국내로 데려오겠다는 계획이다. 항공보안법상 범죄 피의자는 국적기 1대당 최대 2명 탑승할 수 있다. 또 피의자 1명당 형사 2명이 동승해야 한다.
정부는 전세기를 통한 대규모 송환도 검토 중이다. 다만 구금된 한국인 가운데 상당수가 한국에 돌아가지 않겠다며 버티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경찰 관계자는 "송환이 순차적으로 이뤄지기 시작한 것은 맞지만, 전세기를 통한 대규모 송환은 현지 변수가 많아 아직 확정된 게 없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