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은석 "대구가 광주보다 군 소음 피해 2배 넘게 심해"
구윤철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
대구 군 공항 이전 사업도 광주와 같이 정부 차원의 태스크포스(TF) 구성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국회에서 재차 제기됐다. 도심 군 공항 이전 사업의 경우 관할 지자체가 아닌 국가 주도의 사업 추진이 필요하다는 취지다.
최은석 국민의힘 의원(대구 동구군위군갑)은 지난 13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기획재정부 국정감사에서 "대구는 (군 소음 피해가) 수원, 광주보다도 훨씬 더 심각한 수준이다. 수원의 1.5배, 광주의 2.3배"라며 "대구시에 군 공항 이전 문제를 맡겨 놓은 것은 현실적으로 (사업이) 잘못 꿰어진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다른 가덕도 신공항이나 제주 제2공항 그리고 해외 군 공항 이전 사례를 보면 대구도 광주와 같이 TF를 구성해서 범정부 차원의 조치가 필요하다"며 "대통령의 공약이고 국민과 약속한 것이니 장관께서도 잘 새겨달라"고 당부했다.
최 의원은 이날 국가 자금줄을 쥐고 있는 기획재정부가 '대구 군 공항 이전 TF 구성'에 적극적으로 나설 것을 주문했다. 그는 "대구 군 공항 이전 문제도 대통령실이 주관하는 TF가 빨리 구성돼야 한다"며 "기재부가 주도적으로 건의하시고 빨리 실행되도록 해달라"고 강조했다.
TF팀 구성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인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대구 군 공항 이전이 적극적으로 되도록 정부가 지원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앞서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 6월 열린 광주·전남 타운홀미팅에서 "군 공항 이전은 국가가 책임지고 해결해야 할 과제"라고 강조한 바 있다. 당시 대통령은 대통령실 주관 6자 협의체(TF) 구성을 지시하며 국가 주도의 해결 의지를 표명했다.
대구 군 공항 이전을 골자로 한 대구경북통합신공항 사업은 2030년 개항을 목표로 추진되고 있으나 재원 조달 난항으로 계획이 흔들리고 있다. 지난해 대구시의 공공자금관리기금(공자기금) 융자 요청도 기재부 문턱에서 제동이 걸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