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명문화대학교 '2025 비슬제', 학생 주도형 축제로 성황리 마무리
총학생회가 기획한 '학생 중심 축제'로 새 방향 제시
놀이동산 콘셉트의 4개 테마존, 자율과 창의성 돋보여
가을 햇살 아래, 학생들의 손끝에서 축제가 피어났다. 네 가지 테마존 속 웃음과 열정이 어우러지며 '비슬제'는 계명문화대 캠퍼스의 또 다른 즐거움을 선사했다.
계명문화대학교(총장 박승호)는 지난 1일 교내에서 열린 가을 축제 '2025 비슬제(새봄월드)'를 성황리에 마쳤다. 이번 축제는 연예인 초청이나 전문 행사기획 업체에 의존하지 않고, 총학생회가 직접 기획과 운영을 맡아 진행했다는 점에서 큰 주목을 받았다.
'비슬제'는 대학 축제가 학생 자치와 참여를 중심으로 새롭게 변화하고 있음을 보여준 행사로 평가받았다. 놀이동산을 콘셉트로 구성된 이번 축제는 ▷게임존 ▷호러존 ▷무대존 ▷포차존 등 네 가지 테마존으로 운영됐다.
게임존에선 인형뽑기, 농구·펀치·해머 오락기, 사격 챌린지, 풍선다트, 간식뽑기 등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이 마련됐다. 특히 '총장네컷' 포토존은 총장과 학생이 함께 사진을 찍을 수 있는 공간으로, 세대 간 소통의 장으로 인기를 끌었다.
호러존은 총학생회가 기획과 연출을 모두 맡았다. 학생들이 소품 제작부터 음향·조명 연출까지 직접 준비해 현장감을 높였다. 전문 인력 없이 완성된 호러존은 긴장감 넘치는 스토리와 세밀한 구성으로 대기 시간이 한 시간 이상 걸릴 정도의 인기를 모았다.
무대존에선 외부 초청 공연 없이 학생들의 무대로만 채워졌다. 동아리의 노래와 댄스 공연, 외국인 유학생 전통 공연, 개인 노래 무대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이어졌고, 많은 관객이 몰려 좌석이 부족할 정도로 호응을 얻었다. 학생과 교직원, 지역 주민이 함께 즐기며 '학생이 주도하는 축제'의 가능성을 확인하는 순간이었다.
박승호 총장은 "이번 축제는 단순히 외부 가수를 초청하는 기존 방식에서 벗어나 학생들이 직접 기획하고 참여하는 문화로 자리잡았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며 "계명문화대 축제의 새로운 터닝포인트가 됐다"고 말했다.
윤민주 제63대 총학생회장은 "연예인이나 대형 이벤트 없이도 학생들이 힘을 모아 충분히 성공적인 축제를 만들어낼 수 있다는 자신감을 얻었다"며 "프로그램 기획과 무대 연출, 운영 전반을 학생들이 직접 맡다 보니 어려움이 있었지만, 많은 학생과 교직원, 지역 주민이 함께 즐기는 모습에 보람을 느꼈다"고 밝혔다.
이번 비슬제는 외부 자원에 의존하지 않고 학생 스스로 만든 프로그램으로 흥행에 성공한 사례로 꼽힌다. 대학 측은 앞으로도 학생 주도형 축제를 적극 지원해 창의적이고 건강한 대학 문화를 확산하겠다는 계획이다.
학생지원팀 이규호 담당자는 "계명문화대학교는 코로나19 시기에도 학생 문화 활동이 단절되지 않도록 '뮤지컬 DAY', '방콕 노래자랑', '온라인 타자대회', '모바일 카트라이더 이벤트' 등 다양한 비대면 프로그램을 운영해 왔다"며 "이번 비슬제는 그동안 이어온 학생 중심 문화의 전통을 계승하며 자치와 참여를 한 단계 발전시킨 계기였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