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군의 날' 행사 기념사…'환수→회복' 직접 수정 강조
李 "굳건한 한미동맹 기반 전작권 회복하겠다" 포부 밝혀
"걍력한 자주 국방의 길 가야 계엄 청산, 헌법 수호 군대로"
이재명 대통령은 1일 육해공군 본부가 위치한 충남 계룡대에서 열린 국군의 날 기념사에서 "굳건한 한미동맹의 기반 위에 전시작전통제권을 회복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대통령실도 이 대통령의 전시작전통제권에 대한 관점이 '회복'이라고 거들었다.
김남준 대통령실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전시작전통제권에 대해 보통 '전환'이나 '환수'라는 표현을 쓰는데, 회복이라는 단어를 쓴 이유가 있나'라는 질문에 대통령의 소신이 반영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애초 기념사 원고에는 '전작권 전환'이라고 돼 있었으나 이를 이 대통령이 '전작권 회복'으로 수정했다는 게 김 대변인의 설명이다.
김 대변인은 "회복이라는 단어는 '원래 상태로 되돌린다'는 의미이지 않나. 전작권에도 '원래 상태'가 있다는 점을 강조한 표현으로 이해해달라"고 당부했다.
'전환'이나 '환수'라는 단어는 상대적으로 지금 상태에서의 변화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면, '회복'이라는 표현은 예전의 상태를 복원한다는 의미가 더 강하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기념사에 전작권 회복에 대한 내용을 집어넣은 배경을 두고는 "특별히 새로 제안한 것이 아니다. 대선 전부터 이 대통령이 갖고 있던 소신"이라며 "대통령의 의지는 분명하며, 기회가 있을 때마다 그 의지를 반복해서 밝히고 있다"고 덧붙였다.
실제로 이 대통령은 대선 당시 임기 내 전작권 전환 추진을 공약했고 지난달 확정한 이재명 정부 123대 국정과제에도 같은 내용이 포함됐다.
이와 함께 이 대통령은 이날 국군의 날 기념사에서 지난해 비상계엄 사태에 군 일부가 연루됐던 것과 관련 "불법 계엄의 잔재를 청산하고 헌법을 수호하는 군대를 재건하겠다"고 밝혔다.
전시작전권 회복과 아울러 국방비 증액을 통한 스마트 정예강군 도약, K방산 육성, 군 장병 처우 개선 내용 등을 정책 방향으로 제시했다.
엄중한 안보정세 속에 철저한 대비태세를 주도할 강군을 키워내 '자주국방의 꿈'을 실현하겠다는 것이 이 대통령의 구상이다.
이 대통령은 "급변하는 안보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려면 자주국방은 필연"이라며 "우리 국방력에 대한 자부심과 굳건한 믿음에 기초해 강력한 자주국방의 길로 나아가야 한다"고 당부했다.
한편 이 대통령은 "오늘은 77번째 국군의 날이지만 우리 군의 역사는 그 이전부터 시작됐다"며 "조국의 독립을 위해 싸운 독립군과 광복군이 바로 대한민국 국군의 뿌리이자 근간"이라고 규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