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포]불탄 산에서 발견된 한뿌리의 송이, 희망 찾는 영덕군 농심

입력 2025-10-02 14:13:28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2일부터 영덕 송이장터 개최…3일 첫 공판 예정
현재까지는 송이생산 없지만 추석을 기점으로 생산량 증가 기대

지난 3월 산불로 잿더미로 변한 지품면 일대. 영덕군 제공
지난 3월 산불로 잿더미로 변한 지품면 일대. 영덕군 제공

지난 1일 오후 경북 영덕군 지품면 옥류리에 자리한 송이산은 검붉은 속살을 내놓으며 을씨년스러운 분위기를 자아냈다.

2일부터 한 달 간 열리는 '2025년 영덕 송이장터'를 무색하게 하는 모습이다. 영덕군은 이 기간 강원 인제군에서 공수해온 송이로 대체한 뒤, 산불이 피해간 송이산에서 생산이 본격화되면 점차 영덕송이로 판매대를 채워나갈 계획이다.

영덕군산림조합에서도 "3일 송이 첫 공판이 예정돼 있다"며 앞으로 송이생산에 대한 기대감에 힘을 실었다.

송이산으로 오르는 길목에 자리한 검게 불탄 소나무. 박승혁 기자
송이산으로 오르는 길목에 자리한 검게 불탄 소나무. 박승혁 기자

송이채취를 업으로 삼고 있는 주민 A씨는 지난해에는 매일신문을 통해 첫 송이 생산의 기쁨을 알렸지만 올해는 아예 산에 발을 끊었다며 답답해했다.

공무원 은퇴 후 지품면 삼화2리에서 송이채취로 후반전 인생을 꾸리고 있는 오도흥 씨도 속상하긴 마찬가지다.

국사봉이 자리한 삼화2리는 영덕군 전체 송이생산량(지난해 기준·1만2천178kg)의 60%를 차지할 정도로 대표적인 송이 주산지다.

지품면 송이생산자협회 감사를 맡고 있는 신두기 씨도 휑한 송이산을 원망스럽게 바라볼 뿐 할 수 있는 게 없다며 답답해 했다.

3대째 송이산을 터전 삼아 삶을 일구고 있는 이상범 영덕송이생산자협회장은 "10만평에 달하는 송이산이 지난 산불에 모두 소실됐다. 소나무 묘목을 심는다해도 송이생산은 최소 십수년은 기대하기 어렵게 됐다. 앞으로의 생계가 막막하다"고 했다.

이 회장은 ▷관리하고 있는 임산물에 대한 피해보상 ▷임산물 재배 시설에 대한 복구비 지원 ▷송이대체작물 조성사업비 도비 증액 ▷벌채 예산 조기 투입 ▷임야 구입시 대출이자 감면 등을 촉구하며 협회의 소속된 100명의 회원들의 생계를 걱정했다.

지난 3월 의성에서 넘어온 산불이 지품면 일대를 가장 먼저 훑고 지나가면서 송이산 피해가 가장 컸다. 이번 산불은 지품면 등 4천137㏊에 이르는 송이산이 불탔는데, 이는 전체 산 피해 면적(8천50㏊)의 절반을 넘는 수치다.

이 때문에 영덕은 올해 13년 연속 생산량 부문에서 1위를 차지했던 송이생산량 기록을 다른 지역으로 내줘야 할 판이다.

다행히 기온이 송이생장에 적합해 산불이 피해간 송이산은 생산이 기대되고 있다. 9월 말까지 잠잠하던 송이가 1일 부터 조금씩 나고 있다는 농가들의 얘기가 들리긴 하지만 전반적으로 봤을 땐 산불 피해가 막심해 생산량은 평년보다 상당히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송이채취가 시작됐지만 불이 지나간 자리에는 송이를 좀체 구경할 수 없다. 박승혁 기자
송이채취가 시작됐지만 불이 지나간 자리에는 송이를 좀체 구경할 수 없다. 박승혁 기자

아버지의 송이산(지품면 도계리)을 물려받은 B씨는 혹시나 타지 않은 나무에 송이가 깃들지 않을까 하는 희망을 품고 매일 산에 오르고 있다.

"불길이 스치기만 해도 포자가 죽어 송이가 없을 것"이라는 주변 이야기도 있지만 멀쩡히 서있는 소나무를 바라만 보고 있기엔 가족 생계 걱정에 몸이 앞선다.

1일 오후 B씨는 판매할 정도의 상품성은 없지만 불에 그을린 소나무 아래에서 작은 송이 한뿌리를 찾아냈다. "이제는 산에 더 이상 오르지 말아야지"하는 순간, 검게 탄 소나무 숲 사이에서 발견된 송이 한뿌리는 그가 다시 일어설 힘을 줬다.

산불피해가 없는 송이산은 그나마 사정이 낫다.

창수면에서 송이 채취를 하는 한 관계자는 "이웃들의 피해가 막심해 송이가 나도 제대로 말을 못하겠다. 얼마 전 산에 올라 풍년을 기원하며 피해입은 농가들의 안녕도 빌었다"며 "앞으로 날씨가 지금처럼 이어진다면 추석을 기점으로 송이가 본격 생산될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영덕군 산림과 김태형 주무관은 "송이 생장은 온도 차가 있어야 하는데, 현재까지는 양호하다"며 "군 차원에서 불탄 송이산에는 두릅 등 대체작물육성 사업을, 송이산에는 고령의 소나무를 어린 소나무로 대체하는 사업을 속도감 있게 진행해 지역의 임산물 보호에 힘쏟고 있다"고 했다.

한편 영덕군산림조합에 따르면 영덕 송이는 2020년 9월 22일, 2021년 9월 7일, 2022년 9월 12일, 2023년 9월 18일, 2024년 10월 2일 첫 수매가 이뤄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