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자원 화재로 중앙부처·공무원 업무시스템 모두 탔다…"재가동까지 2주 관측"

입력 2025-09-28 18:10:51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27일 대전 유성구 국가정보자원관리원 앞에 소방차와 경찰차가 서 있다. 전날 오후 8시 20분께 전산실에서 리튬이온 배터리 폭발로 화재가 발생했다. 소방당국은 9시간 50분 만인 이날 오전 6시 30분께 초진 완료했다. 연합뉴스
27일 대전 유성구 국가정보자원관리원 앞에 소방차와 경찰차가 서 있다. 전날 오후 8시 20분께 전산실에서 리튬이온 배터리 폭발로 화재가 발생했다. 소방당국은 9시간 50분 만인 이날 오전 6시 30분께 초진 완료했다. 연합뉴스

국가정보자원관리원(이하 국정자원) 전산실에서 발생한 리튬배터리 화재로 정부의 핵심 정보시스템이 불에 타 무용지물이 되면서 대국민 서비스가 언제 복구돼 정상화될지에 관심이 쏠린다. 일각에서는 전소된 시스템이 재가동 되는데는 약 2주가 걸릴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28일 정부에 따르면, 국정자원은 화재로 큰 피해가 난 5층 7-1 전산실 내 96개 시스템에 대해 대구센터 내 민관협력형 클라우드 서비스로 이전을 준비하고 있다. 정부 내부 일각에서는 이들 전소된 시스템이 대구센터에서 새롭게 가동되는 데 "약 2주가 걸릴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전소된 96개 시스템에는 국민신문고와 국가법령정보센터, 공무원의 행정업무망인 온나라시스템 등 정부 핵심 정보시스템이 포함된 것으로 전해졌다.

온나라시스템은 공무원들이 내부에서 문서를 제출하는 등 업무를 보는 데 필수적인 시스템이다.

여기에 행정안전부 등 중앙부처 홈페이지 관리 시스템 대부분도 전소된 7-1 전산실 시스템에서 있었던 터라 정상화까지 상당 기일이 소요될 전망이다.

현재 일부 기능을 빼고 재가동된 것은 모바일신분증이다.

모바일신분증의 경우 광주센터의 재해복구(DR) 시스템 체계 전환을 통해 화재발생일인 26일 기준 신규 발급·재발급을 제외한 모든 기능이 정상화됐다.

중앙부처와 달리 대통령실 홈페이지는 이번 국정자원 화재와 무관하게 정상 가동되고 있다.

정부 온라인 민원서비스인 '정부24', 현장 공무원들이 행정전산망인 '새올'에 접속하기 위해 신원을 인증받는 GPKI(행정전자서명인증서) 시스템 등은 화재에 직접 피해를 보지는 않은 국정자원 대전 본원 2∼4층 전산실에 있다.

국정자원은 지난 26일 5층 7-1 전산실에서 화재가 난 뒤로 항온항습기가 꺼지자 다른 구역·층의 정보시스템을 보호하고자 선제적으로 가동을 중단한 바 있다.

이들 3개 층 전산실 등에는 전소된 7-1 전산실 내 정보시스템 96개를 제외한 551개 시스템이 있다.

정부는 국정자원 내 전산실의 통신·보안 장비복구를 모두 마치는 대로 551개 시스템에 대한 순차 재가동을 통해 정상적인 서비스가 가능한지 점검할 계획이다.

이런 탓에 일선 구청과 읍면동 주민센터 등 민원 현장은 문을 여는 오는 29일 포함해 다음주에는 정상적인 민원 서비스를 기대하기는 현실적으로 어려워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