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이틀째인 28일 각종 서류발급이나 불법주정차 단속 등 일상과 밀접한 부분의 전산시스템이 마비되면서 시민 불편이 이어지고 있다.
이날 오후 2시쯤 찾은 대구 중구청. 1층에 있는 두 대의 무인민원발급기는 아예 꺼져 있었다.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탓에 시스템이 먹통이 됐기 때문이다. 이날 출근한 중구청 당직자들은 화재 여파로 무인민원발급기를 사용할 수 없다는 안내문을 붙일 준비를 하느라 분주한 모습이었다.
이날 중구청을 방문한 이모(36) 씨는 "이달 말까지 대출에 필요한 서류를 준비해야 하는데 큰일"이라며 "내일 회사에 오전 반차를 내고 직접 행정복지센터에 가봐야 할 것 같다. 주말 동안 시스템 마비로 민원인들도 많을 텐데 난감하다"고 말했다.
불법주정차 단속도 쉽지 않은 상황이다. 행정안전부의 행정전자서명(GPKI) 인증시스템이 화재로 먹통이 되면서 기존 단말기를 사용할 수 없게 돼서다.
중구청에 따르면 현재 카메라를 설치한 단속 차량 운행과 녹화 자체는 문제가 없는 상태다. 다만 주말 동안 녹화한 불법주정차 자료를 월요일인 29일 전산 시스템에 업로드하는 과정에서 차질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실제로 서울시 산하 구청의 경우 전날부터 불법 주정차 차량 단속을 수기로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중구청 소속 주차단속요원은 "화재 이후 주말 동안에도 주차단속은 꾸준히 실시했다"며 "다만 수집한 단속 자료가 똑바로 시스템 상에 등록될 지를 모르겠다. 화재 복구가 제 때 안 된다면 단속 업무 자체가 마비될 수 있다"고 말했다.
경찰의 교통범칙금 납부도 중단된 상태다. 정부 세입‧세출과 국고금 수납을 관리하는 통합시스템 '디브레인'이 화재로 멈춘 탓이다.
경찰청은 이날 교통민원24 홈페이지에서 "국정자원 화재 관련 국가기관 일부 정보시스템이 셧다운 발생, 우편물 발송과 범칙금·과태료 고지 정보 전송 및 납부가 불가하다"는 내용을 공지했다. 경찰은 당분간 교통범칙금 부과 대신 계도에 집중하는 한편 이미 발부된 과태료·범칙금에 대해서는 납부기간 유예 등을 검토하고 있다.
한편 공무원 전용 이메일 시스템인 공직자통합메일 서비스도 중단되면서 공무원 일상 업무까지 차질이 빚어지는 모양새다. 대구시는 28일 오전 출입기자단에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인해 공직자통합메일 사용이 불가해 웹하드에 보도자료를 게시했다"고 공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