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이 역대 정부 최초로 대통령실 특수활동비, 업무추진비, 특정업무경비 집행정보를 공개했다.
대통령실은 23일 오후 4시 "국민의 알권리와 법원 판결을 존중해 공개를 결정했다"며 주요 국정 운영경비에 대한 집행정보를 대통령실 홈페이지를 통해 게시했다. 대통령실은 "국민 세금을 투명하고 올바르게 집행하고자 하는 이재명 정부의 굳은 의지 표명"이라고 했다.
먼저 정부 출범 이후 올해 6월부터 8월까지 특수활동비로 총 4억6천422만6천원을 사용했다. 구체적으로 ▷외교·안보·정책 네트워크 구축 및 관리 1억5천802만5천원 ▷민심·여론 청취 및 갈등 조정·관리 9천845만2천원 ▷국정현안·공직비위·인사 등 정보 수집 및 관리 9천700만8천원 ▷국민고통 위로 및 취약계층 등 격려 5천220만 원 ▷국가 정체성 및 상징성 강화 5천854만1천원 이다.
대통령실은 "특수활동비는 기밀 유지가 요구되는 외교, 안보 등 국정수행 활동에 직접 소요되는 경비로서 그간 집행정보가 외부에 알려지지 않아 매 정부마다 여러 의혹들이 제기되곤 했다"고 설명했다.
업무추진비는 총 9억7천838만1천421원을 사용했다. ▷국정 현안 관련 대민·대유관기관 간담회 등 2억7천990만4천781원 ▷국내·외 주요 인사 초청 행사비 등 3억5천375만3천460원 ▷기념품·명절선물·경조화환 구매비 등 3억4천472만3천180원이다.
특정업무경비로는 1천914만1천980원을 썼다. ▷수사·감사·예산·조사 업무 소요 경비 279만6천580원 ▷특정 업무 상시 수행 소요 경비 1천634만5천400원이다.
대통령실은 업무추진비에 대해 "원활한 국정 운영을 위한 간담회 및 국내·외 주요 인사 초청 행사 등에 활용하는 예산"이라며 "예산집행의 투명성 제고를 위해 일자별 집행 내역까지 공개했다"고 밝혔다.
이어 특정업무경비 관련 "수사·감사·예산·조사 등 특정업무 수행에 소요되는 경비로, 이제껏 집행내역을 공개한 기관은 없었으나 특수활동비, 업무추진비와 함께 대국민 공개를 결정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