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극항로 시대 앞두고 영일만항 도약 절실…인프라 확충·장기 전략 시급

입력 2025-09-17 17:34:54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정원조 센터장, 영일만항 개발·확장과 북극 연계 전략 제시

포항 영일만항 전경. 매일신문DB
포항 영일만항 전경. 매일신문DB

북극항로 개척 시대를 앞두고 포항 영일만항의 인프라 개선과 장기 전략 수립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단순한 물류 거점을 넘어 자원·에너지와 관광이 융합된 복합 허브로 도약해야 한다는 비전이다.

대구정책연구원이 17일 주최한 '북극항로 개척과 대구경북' 심포지엄에서 정원조 경북연구원 환동해정책지원센터장은 '북극항로와 영일만신항'을 주제로 발표하며, 포항 영일만항을 환동해 자원·에너지 거점 항만으로 육성해 북극항로 개척 시대를 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 센터장에 따르면 영일만항의 물동량은 2018년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했다. 2018년 대비 2023년 물동량은 -42.54%로 급감했다. 주요 수출입 품목은 전기기기와 철강제품, 목재·섬유 등이지만 감소세가 뚜렷해 신규 성장 동력이 필요하다.

정 센터장은 영일만항이 북극항로 전진기지로 도약하기 위해 단기·장기 전략을 제시했다. 단기적으로는 러시아 북극권 자원 운송과 프로젝트 화물 처리 중심의 거점 기능을 강화해야 하며, 장기적으로는 복합 물류·산업 클러스터와 친환경 항만으로 발전시켜 글로벌 해운 네트워크의 일부로 편입해야 한다고 밝혔다.

특히 그는 포항 2차전지 특화단지와 연계해 니켈·코발트·리튬 등 핵심 광물 수입 수요를 흡수하고, 동해 심해가스전 개발과 수소·암모니아 허브 구축을 통해 청정에너지 거점 기능을 확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영일만항을 '탄소중립항만·해상풍력지원항만·석유가스 전진기지'라는 세 축으로 확장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를 위해 수소와 암모니아를 들여올 수 있는 설비를 마련하고, 동해안의 대규모 해상풍력 단지를 지원하는 전용 항만으로 거듭나야 한다는 설명이다. 동해안에서 개발되는 심해자원을 처리해 원유와 LNG를 다루는 허브로 발전시켜야 한다는 조언도 덧붙였다.

단계적 추진 과제도 제시했다. 2026~2030년에는 항만 부지를 넓히고 선석을 새로 확보하며, 2031~2035년에는 LNG와 수소를 다루는 전용 부두와 대형 풍력 기자재를 제작할 수 있는 부두를 짓고, 2036~2040년에는 종합물류 거점과 관광·컨벤션 시설을 함께 갖춘 복합단지로 발전시켜야 한다는 구상이다.

정 센터장은 "영일만항은 환동해 자원개발의 전진기지이자 동북아 가스허브로 성장할 잠재력이 크다"며 "북극항로 개척이 본격화되면 영일만항은 단순한 항만을 넘어 에너지와 관광, 산업이 융합된 복합 허브로 발전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