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동영 "'탈북민' 명칭변경 검토…어감 나빠 탈북민들도 싫어해"

입력 2025-09-16 06:30:34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정동영 통일부 장관이 15일 경기도 의정부시 경기권 통일플러스센터에서 열린 개관식에서 축사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동영 통일부 장관이 15일 경기도 의정부시 경기권 통일플러스센터에서 열린 개관식에서 축사하고 있다. 연합뉴스

통일부가 북한을 탈출해 한국으로 귀순한 주민을 일컫는 '북한이탈주민'과 '탈북민' 용어를 '북향민'(北鄕民) 등 다른 명칭으로 변경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16일 통일부와 경기도에 따르면 정동영 퉁일부 장관은 전날 경기권 통일플러스센터 개관식 축사에서 '북한이탈주민'이라는 법적 용어와 일상에서 쓰는 '탈북민' 표현의 대체에 관한 용역을 진행 중이라고 공개했다.

정 장관은 "북한이탈주민이 제일 싫어하는 단어가 '탈(脫)'자"라며 "탈북, 어감도 안 좋다"고 지적했다.

그는 "그래서 통일부가 지금 이름을 좀 바꾸자 해서 용역을 줬다"며 "(현재로서는) '이북에 고향을 두고 오신 분들'이라 해서 '북향민'이 제일 (지지가) 많은 것 같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각 지역 향우회를 열거하며 "'탈'자를 떼버리고 북향민, 괜찮겠습니까?"라고 청중을 향해 질문했다.

앞서 정 장관은 지난달 말 북한이탈주민들과 정책간담회에서도 용어 변경 필요성에 관한 견해를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통일부는 북한이탈주민 및 탈북민 용어의 변경 필요성과 새 용어 후보군 등에 관한 연구용역계약을 지난달 북한이탈주민학회와 체결했다.

통일부 관계자는 "법적 용어인 북한이탈주민과 이의 축약어인 탈북민 용어를 변경할지에 관해 검토하는 연구용역에 착수했다"며 "연구 결과는 11월에 나올 예정"이라고 말했다.

그동안 '북한이탈주민' 또는 '탈북민' 용어에 대한 북한이탈주민 사회 내 부정적인 평가는 꾸준히 이어졌다.

지난해 통일연구원의 북한이탈주민 대상 조사 결과를 보면 58.9%가 법적 용어 변경에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체 용어 조사에서는 '하나민', '통일민', '북향민'의 선호도가 비슷하게 나왔다.

윤석열 정부의 대통령 직속 국민통합위원회는 대안으로 '북배경주민'과 '탈북국민'을 제시했다.

법적 용어인 북한이탈주민 명칭 변경은 '북한이탈주민의 보호 및 정착에 관한 법률'을 개정하면 된다.

그러나 대중에게 널리 익숙해진 '탈북민' 표현은 정부의 명칭 변경 캠페인으로 대체가 쉽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앞선 명칭 대체 시도로 '새터민' 같은 새로운 표현이 나오기도 했지만, 큰 호응을 받지 못해 일상에서 거의 쓰이지 않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