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과 Insight+전공 Inside] '세계로 뻗는 취업 DNA' 영진전문대 컴퓨터정보계열의 비결

입력 2025-09-15 13:51:08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실무 중심 교육과 글로벌 취업 지원으로 '취업 강자' 자리매김
AI·보안·게임·글로벌 IT까지 전공 특화 과정 운영
취업률 81.9%와 해외취업 625명, 경쟁력 수치로 입증

영진전문대 컴퓨터정보계열 인공지능 실습 모습. 영진전문대 제공
영진전문대 컴퓨터정보계열 인공지능 실습 모습. 영진전문대 제공

영진전문대 컴퓨터정보계열이 국내외 취업 성과에서 두각을 나타내며 '취업 명문 학과'의 위상을 공고히 하고 있다. 교육부가 발표한 2025년 공시자료에 따르면, 이 계열의 취업률은 81.9%로 집계됐다. 이는 비수도권 내 모든 컴퓨터 관련 학과(4년제와 전문대 포함)를 통틀어 가장 높은 수치로, 압도적인 성과라는 평가를 받는다.

특히 해외 취업 분야에서의 성과가 두드러진다. 지난 17년 동안 총 625명의 학생이 해외 취업에 성공했으며, 일본 글로벌 대기업인 소프트뱅크, NTT, 라쿠텐 등에만 161명이 진출했다. 일본 IT 전문기업 ISFNET과의 협약을 통해서 지금까지 104명이 취업했고, 이 과정에서 기업이 기탁한 장학금은 1억5천만원에 달한다.

컴퓨터정보계열은 1학년에는 기초과정을 이수한 뒤, 2학년부터는 ▷AI소프트웨어과 ▷AI게임메타버스과 ▷AI글로벌(일본)IT과 중 하나를 선택해 심화 교육을 받는다.

AI소프트웨어과는 인공지능과 빅데이터 기반 응용 소프트웨어 개발 능력을 기르는 과정으로, 2025년부터는 RISE사업의 'D5 연관산업 현장친화형 전문인력 양성사업'에 참여해 ABB(인공지능·빅데이터·블록체인) 분야 맞춤형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AI게임메타버스과는 유니티 게임엔진을 활용한 2D·3D 게임 개발과 메타버스 콘텐츠 전문가 양성에 주력하고 있으며, 2023년 중소벤처기업부 '기술사관 육성사업'에 선정돼 장학금과 특강 등 다양한 교육 지원을 받고 있다.

AI글로벌(일본)IT과는 입학 시부터 무료 일본어 기초 교육을 실시하고, 2학년에는 일본어·IT 심화교육, 방학 중에는 일본 현지 학기제 연수를 통해 어학 능력을 극대화한다. 3학년에는 면접 일본어와 취업 컨설팅 과정을 거쳐 일본 현지 기업 채용 면접을 3주간 진행하며, 매년 일본 IT 기업의 채용성과를 높이고 있다.

2026학년도에는 'AI컴퓨터보안계열'을 신설해 모집할 예정이다. 이 과정은 클라우드, 보안, 네트워크 등 다양한 영역을 아우르며 '멀티 플레이어형 IT 인재'를 길러내는 것을 목표로 한다. 기존 AI컴퓨터보안과는 세계 최대 네트워크 기업 시스코가 주관하는 국제 대회 'APJX NetAcad Riders'에서 은상과 동상을 수상하며 실력을 인정받은 바 있다.

영진전문대 컴퓨터정보계열 컴퓨터보안 수업. 영진전문대 제공
영진전문대 컴퓨터정보계열 컴퓨터보안 수업. 영진전문대 제공

국고 지원사업은 학과 경쟁력을 높이는 핵심 동력이다. 혁신융합대학사업(2021~2026년)을 통해 전국 전문대 가운데 유일하게 AI 분야로 선정됐으며, 반도체 소프트웨어 기술사관 육성사업(2023~2027년)에도 선정돼 반도체 특화 소프트웨어 인재를 배출하는 성과를 올리고 있다. 국고 해외취업지원사업도 2009년부터 이어져 일본 취업을 중심으로 한 특강, 연수, 채용 연계 프로그램을 운영해왔다.

여기에 올해부터 2029년까지 매년 3억원 규모의 국비가 지원되는 'RISE Track ABB 분야' 특화 교육이 더해져 첨단 기자재 확보와 현장 견학, 산업체 기술 교류, 혁신 인재 양성지원금 제공 등 학생들의 실무 역량 강화가 적극 추진되고 있다.

류용희 컴퓨터정보계열 부장(교수)은 "학생들이 국고사업과 기업 장학금 등 다양한 혜택 속에서 첨단 기자재와 실무 교육을 경험하고, 글로벌 무대에서 활약할 수 있는 실력과 실무 역량을 갖춘 인재로 성장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영진전문대 컴퓨터정보계열 일본 도쿄 연수 현지 취업 선배와 간담회. 영진전문대 제공
영진전문대 컴퓨터정보계열 일본 도쿄 연수 현지 취업 선배와 간담회. 영진전문대 제공
영진전문대 컴퓨터정보계열 네트워크보안 실습 모습. 영진전문대 제공
영진전문대 컴퓨터정보계열 네트워크보안 실습 모습. 영진전문대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