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또 사상 최고, 과연 실력과 실적으로 올랐나?

입력 2025-09-11 18:08:45 수정 2025-09-11 19:36:05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11일 종가 3,344.20p로 마감…종가 기준 최고가 기록
정부 정책 '일시적 이벤트' 경고

이재명 대통령의 취임 100일인 11일 전장보다 29.67포인트(0.90%) 오른 3,344.20으로 거래를 마치며 최고치를 기록한 코스피 종가가 서울 여의도 한국거래소 현황판에 표시돼있다. 지수는 22.07포인트 오른 3,336.60으로 문을 연 직후 3,344.70까지 치솟으며, 전날 기록한 장중 사상 최고치(3,317.77) 역시 큰 폭으로 뛰어넘었다. 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의 취임 100일인 11일 전장보다 29.67포인트(0.90%) 오른 3,344.20으로 거래를 마치며 최고치를 기록한 코스피 종가가 서울 여의도 한국거래소 현황판에 표시돼있다. 지수는 22.07포인트 오른 3,336.60으로 문을 연 직후 3,344.70까지 치솟으며, 전날 기록한 장중 사상 최고치(3,317.77) 역시 큰 폭으로 뛰어넘었다. 연합뉴스

코스피가 이재명 대통령 취임 100일째 되는 11일 개장 직후 장중 사상 최고치를 경신한 데 이어 종가 기준 최고가마저 새로 쓰며 하루 만에 이중 기록을 갈아치웠다.

지수는 3,344.20으로 마감해 전날 종가(3,314.53)를 불과 하루 만에 넘어섰다. 단기 급등에 따른 차익실현 매물에도 외국인과 기관의 동반 매수세가 지수를 떠받친 결과다.

그러나 이번 랠리를 두고 시장 안팎에서는 "실력과 실적이 뒷받침된 상승이냐"는 의문도 제기된다.

이날 증시의 초점은 오전 10시부터 진행된 이재명 대통령의 취임 100일 기자회견이었다.

이 대통령은 주식 양도소득세 과세 대상인 '대주주' 기준을 현행 50억원에서 10억원으로 낮출지 여부와 관련해 "시장 활성화를 저해한다면 굳이 고집할 필요 없다"며 완화 가능성을 열어뒀다.

배당소득 분리과세 문제에 대해서도 "세수에 큰 결손이 발생하지 않는 범위에서 배당을 최대한 늘리는 것이 목표"라고 밝히며 자본시장 활성화 의지를 재확인했다.

그러나 이미 며칠 전부터 대주주 기준 유지 가능성이 언론에 보도되면서 기대감은 상당 부분 선반영돼 있었다. 이날 기자회견은 오히려 재료 소진 이벤트로 받아들여졌고, 금융·증권·보험주 일부는 약세로 돌아섰다.

반면 반도체와 대형주는 지수를 끌어올렸다. 삼성전자는 1.10% 오른 7만3천400원, SK하이닉스는 0.99% 오른 30만7천원에 마감하며 지수 상승을 견인했다. LG에너지솔루션,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현대중공업 등 시가총액 상위 종목 대부분도 동반 상승했다.

그러나 이들 기업의 실적 전망은 글로벌 경기 둔화, 트럼프 행정부의 고율 관세 정책, 중국 경기 불안 등 대외 변수에 여전히 크게 흔들리고 있다.

전날까지 정책 기대감에 힘입었던 금융주 랠리가 이날 힘을 잃고, 대신 방산과 K-푸드 같은 개별 업종으로 매기가 이동한 것 역시 시장이 뚜렷한 성장 동력보다는 단기 재료에 따라 출렁이고 있음을 보여준다.

수급 면에서도 균열은 뚜렷하다. 외국인(3천24억원)과 기관(8천45억원)이 순매수를 기록하며 지수를 떠받쳤지만, 개인은 1조1천억 원 넘게 순매도했다.

개인 투자자들이 "정책 효과가 이미 소진됐다"고 판단해 차익실현에 나선 반면, 외국인과 기관은 파생상품 연계 매수에 집중한 결과다. 증시가 '실적 장세'보다는 여전히 '정책과 자금 흐름'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는 의미다.

결국 코스피가 이틀 연속 장중·종가 최고치를 모두 경신한 것은 역사적 기록이지만, 그 배경을 따져보면 정책 이벤트 기대감과 반도체주 모멘텀이라는 제한된 요인에 기댄 상승이다.

증권가에서도 "정부 정책 기대감이 국회 논의로 넘어가며 약해졌다"는 분석이 나오는 가운데, 앞으로 이어질 기업 실적 시즌에서 기대치를 충족하지 못한다면 지금의 최고가는 '일시적 이벤트 장세'로 평가절하될 수 있다는 경고가 뒤따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