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 63% "신규채용 없거나 미정"

올 하반기 국내 주요기업이 채용 규모를 축소하면서 취업 문이 좁아질 것이란 부정적 전망이 나왔다.
11일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가 리서치앤리서치에 의뢰해 매출액 500대 기업(응답기업 121개 사)을 조사한 결과, 62.8%는 올해 하반기 신규 채용 계획이 없거나 미정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작년 하반기(57.5%)보다 5.3%포인트(p) 상승한 수준이다. '미정'은 2.0%p 하락한 38.0%, '없음'은 7.3%p 상승한 24.8%였다.
채용 계획을 수립한 기업 중에서 작년보다 규모를 줄이겠다는 기업은 37.8%, 늘리겠다는 기업은 24.4%였다. 비슷한 수준으로 유지한다는 기업은 37.8%였다. 특히 채용 축소 기업은 작년 하반기보다 20.2%p 늘었고 확대 기업은 6.8%p 늘었다.
한경협은 "올 하반기 채용계획이 없는 기업 비중이 작년보다 크게 늘었고, 채용 계획이 있는 기업 중 규모를 줄이겠다는 기업 비중도 작년보다 2배 이상 증가해 채용시장이 지난해에 비해 위축될 우려가 있다"고 분석했다.
업종별로 보면 건설·토목(83.3%), 식료품(70.0%), 철강·금속(69.2%), 석유화학·제품(68.7%) 순으로 채용계획이 미정이거나 없는 비중이 컸다.
신규 채용을 하지 않거나 채용 규모를 늘리지 않겠다고 한 이유로는 '대내외 불확실성 확대 및 기업 수익성 악화 대응을 위한 경영 긴축'(56.2%)이 가장 많이 꼽혔다. 또 '원자재 가격 상승, 인건비 증가 등 비용 부담 증대'(12.5%), '글로벌 경기침체 장기화, 고환율 등으로 인한 경기 부진'(9.4%)이 뒤이었다.
신규채용 애로사항의 경우 '요구수준에 부합하는 인재 찾기 어려움'(29.4%), '채용 후 조기퇴사자 발생'(24.0%), '채용 과정에서 이탈자 발생'(19.3%), '허수 지원자가 많음'(14.7%) 순으로 나타났다. '신산업·신기술 등 과학기술 분야 인재 부족'은 2.9%였다.
인력 확보에 어려움을 겪는 직군으로는 연구·개발직(35.9%), 전문·기술직(22.3%), 생산·현장직(15.9%) 순이었다.
대졸 신규채용 증진을 위한 정책과제로 '규제 완화를 통한 기업 투자·고용 확대 유도'(38.9%), '고용증가 기업 인센티브 확대'(22.3%), '신산업 성장동력 분야 기업 지원 강화'(10.7%), '구직자 역량과 채용자 니즈 간 미스매치 해소'(10.7%) 등을 꼽았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노조법·상법 개정으로 경영환경이 더욱 어려워진 상황에서 정부와 국회는 각종 규제 완화와 투자 지원 등을 통해 기업들의 고용 여력을 뒷받침해야 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