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쓰레기통 잘라 쓰는 환경공무직 직원들… 개선 필요" 서구의회 지적 나와

입력 2025-09-10 14:45:49 수정 2025-09-10 15:20:29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구청이 재료 제공하면 스스로 청소도구 개조해 사용
이주한 서구의원 "관련 안전 규정 있는데 무시… 대책 마련해야"

대구 서구의 한 거리에 놓여 있는 개조 쓰레받기. 작업자는 허리에 부담이 가지 않도록 자신의 키에 맞게 장비를 개조해야 한다. 대구 서구의회 제공.
대구 서구의 한 거리에 놓여 있는 개조 쓰레받기. 작업자는 허리에 부담이 가지 않도록 자신의 키에 맞게 장비를 개조해야 한다. 대구 서구의회 제공.

서구의회 구정질문을 통해 서구청의 환경공무직 직원들의 청소 장비가 열악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서구청은 직원들 처우에 맞게 장비를 개선하고 있다고 해명했다.

10일 대구 서구의회 제259회 임시회 구정질문에서 환경공무직 직원들 청소장비 개선 필요하다는 요구가 나왔다. 이주한 서구의원은 "환경공무직 직원들 업무 실정에 맞는 장비를 보급해야 근골격계 부상 위험을 줄일 수 있다"며 "하지만 청소 장비는 10년째 크게 달라지지 않고, 직원들이 스스로 장비를 개조해 사용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서구 소속 환경공무직 직원들은 대형 쓰레기통을 대각선으로 잘라 마치 쓰레받기처럼 개조해 사용하고 있다. 서구청이 개조 재료를 구입해 제공하면, 직원은 자신의 신체 조건에 맞게 자르고 조립해야 한다. 이 과정에서 제대로 된 마감이 되지 않아, 날카로운 절단면이 그대로 노출되거나 테이프로 땜질 처방하는 일이 반복되고 있다.

이 같은 문제는 대구 전역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날 제출된 자료에 따르면 대구 북구, 중구의 경우 작업자 키보다 쓰레받기 손잡이의 길이가 짧아, 테이프나 못으로 손잡이를 연장하고 있다.

이 구의원은 구청이 보급하는 청소도구가 근골격계질환 예방 대책에 어긋나 이 같은 문제가 발생했다고 비판했다. 한국산업안전공단은 기술지원 규정 통해, 청소도구는 작업자의 높이에 맞게 길이 조절이 가능해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어서다.

이 구의원은 "규정을 무시하고 길이 조절이 어려운 쓰레받기를 최초 보급한 탓에, 직원들이 멀쩡한 쓰레기통을 자르고 붙여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했다"고 비판했다.

서구청은 현장 직원들의 요청에 따라 장비를 보급했으며, 차후에도 도구 개선에 공을 들이겠다고 밝혔다.

성웅경 서구 부구청장은 "매년 수요자 맞춤형 조사해 환경공무직에게 적절한 장비를 보급하고 있다"며 "근골격계에 부담 생기지 않게 하기 위해 작업 전 스트레칭 등 추가 조치도 하고 있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