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청소년 우울증 환자 5년간 72% ↑…"사춘기와 혼동 쉬워 세심히 관찰해야"

입력 2025-09-07 17:48:34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지난해 소아·청소년 우울증 호나자 8만6천여명
"소아 우울증 예방 위해 몸 건강한 환경 조성을"

우울증 관련 자료 이미지. 게티이미지뱅크
우울증 관련 자료 이미지. 게티이미지뱅크

소아·청소년 우울증 환자가 최근 5년간 70% 넘게 증가해 8만6천여명에 이른 것으로 나타났다.

7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소아·청소년 우울증 환자는 2020년 4만9천983명(남성 1만8천834·여성 3만1천149명)에서 지난해 8만6천254명(3만1천55명·5만5천199명)으로 72.6% 증가했다.

세부적으로 보면 10~19세인 10대 환자는 2020년 4만8천645명(남성 1만8천12명·여성 3만633명)에서 지난해 8만3천520명(2만9천262명·5만4천258명)으로 71.7% 늘었다. 10세 미만 환자 역시 1천338명(남성 822명·516명)에서 2천734명(1천793명·941명)으로 104.3% 증가했다.

같은 기간 국내 우울증 환자는 83만7천808명에서 110만9천300명으로 32.4% 늘었는데, 10세 미만과 10대 환자에서 유독 크게 증가한 셈이다.

소아 우울증은 과거엔 흔하지 않았지만 최근 어린이, 청소년들이 과도한 학업 등 스트레스 상황에 노출되면서 점점 늘어나는 추세다.

소아 우울증은 성인 우울증과 마찬가지로 우울감과 의욕 저하가 주요 증상이고, 식욕 저하나 불면증, 집중력 저하 등을 동반하기도 한다. 공부에 집중이 안 된다고 호소하거나 이전에 즐기던 활동에 대한 흥미나 의욕이 사라지는 아이들도 많다.

사춘기 때 흔히 발생하는 감정 기복은 자연스러운 현상이지만 우울증에 의한 감정 변화는 지속적으로 일상생활에 지장을 주기 때문에 치료가 필요하다. 특히 소아 우울증은 사춘기 반응과 혼동하기 쉬워 적기에 병원을 찾기 어렵기 때문에 보호자의 세심한 관심이 필요하다.

소아 우울증을 예방하려면 마음과 몸이 건강한 환경을 조성하는 게 제일이다. 게임이나 휴대전화 대신 적절한 신체활동을 하면서 쉴 수 있는 시간과 공간을 마련하는 게 좋다.

김재원 서울대병원 소아청소년정신과 교수는 "부모가 나서서 아이의 '숨 돌릴 틈'을 직접 만들어줘야 한다"며 "소아 우울증으로 진단된 후에는 치료 과정에서도 지치지 않고 아이를 지지해 주는 자세가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