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이 8일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대표, 장동혁 국민의힘 대표와 오찬 회동(會同)을 한다. 오찬이 끝나면 이 대통령과 장 대표 간 별도의 단독 회동이 이어진다. 대통령과 여야 대표 회동은 특별한 의제를 정하지 않고 자유롭게 진행될 예정이다. 국민들은 이번 회동이 꽉 막힌 정국(政局)을 풀어 정치를 복원하는 출발점이 되길 바라고 있다.
여야 관계는 최악이다. 정청래 민주당 대표는 지난달 2일 당 대표에 취임하며 비상계엄 등에 대한 사과나 반성 없이는 국민의힘 인사들과 악수도 하지 않겠다고 선언했다. 민주당은 '국민의힘 해산(解散)', 특검 수사 확대 등 내란 프레임과 노란봉투법, 1·2차 상법 개정 등 입법 독주(獨走)로 정치를 극단으로 내몰고 있다. 이에 장동혁 국민의힘 대표는 선출 뒤 "이재명 정권을 끌어내리겠다"며 초강경 목소리를 냈다. 이런 상황에서 이 대통령이 여야 지도부 회동을 이끌어 낸 것은 그나마 다행이다.
이 대통령은 이번 회동을 통해 한미·한일 정상회담의 성과를 공유하고, 국회와 소통은 물론 협치(協治)를 이끌어 내고 싶을 것이다. 대미 통상·안보 후속 협상과 국정 동력 확보를 위해선 야당의 협조가 중요하기 때문이다. 이 대통령이 최근 "(대통령은) 여당을 대표하는 것이 아니라 국민을 대표해야 한다" "야당과 대화는 당연히 해야 한다"고 밝힌 것은 이런 인식에 기반(基盤)한다. 장 대표의 단독 회담 요구를 수용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국가 위기 극복과 원활한 국정 운영을 위해선 '정치 복원'이 필수다. 정치·행정 경험이 풍부한 이 대통령은 이를 잘 알고 있다. 회동의 성공 여부는 이 대통령의 중재(仲裁) 능력에 달려 있다. 민주당은 국정을 책임지는 집권당에 맞는 처신을 해야 하고, 국민의힘은 건강한 견제와 비판이라는 야당의 역할에 충실해야 한다. 장 대표가 단독 회담에서 '여야정 국정 협의체'를 포함한 포괄적 협치 방안을 거론하겠다고 했는데, 이는 바람직한 방향이다. 국내외 안보·경제 상황이 심각하다. 여야가 국내 문제로 다툴 때가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