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은 한일정상회담에 대해 "워싱턴의 '오해'를 덜어보려는 서울의 불안심리가 빚어낸 하나의 외교촌극"이라고 비난했다.
25일 조선중앙통신은 '3각군사공조실현의 척후로 나선 서울위정자의 추태'라는 제목의 김혁남이라는 개인 필명의 글을 전했다.
해당 글은 한일 정상이 한미일 협력을 강화하기로 한 데 대해 "곧 만나게 될 백악관 주인을 향한 구애의 메시지"라고 비판했다.
글에서는 취임 후 첫 정상 회담 국가로 미국이 아닌 일본을 택한 이재명 대통령 실명을 거론하며 이를 '친일 행위'라고 비하했다.
이 글은 "리재명이 야당 대표 시절 민심 유혹을 위해 내뱉군 하던 《대일강경》 발언으로 얻어쓴 《반일》감투 때문에 집권 이후 일본 내부의 싸늘한 시선은 물론 미국의 냉대와 압박을 받아온 것은 잘 알려져 있다"고 비꼬았다.
그러면서 "친미사대외교의 전통까지 무시한 듯한 이번 도꾜행각의 배경에는 바로 현 집권자에 대한 미국의 불신과 그로 인한 하수인의 번민이 얽혀있다"고 평가했다.
이어 "백악관 나들이 때 있을 수 있는 외교참사도 피해볼 작정으로 급기야 자발적인 친일검증행각길에 오른 것"이라며 "문제는 앞으로 친일 신조를 행동적으로 증명하려는 이 서울 위정자의 과잉욕구가 지역의 안보위기를 한층 고조시킬 것"이라고 꼬집었다.
이 글은 한일 정상회담으로 "미국 상전의 눈에 들기 위해 침략적인 미일한 3각군사공조실현의 척후로 나서 조선반도와 지역의 평화와 안전을 거래흥정물로 내들고 있는 한국집권자의 추악한 대결정체를 적라라하게 조명"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우리는 패권지향적인 미국과 그 추종자들에 의해 벌어지고 있는 우려스러운 사태를 절대로 수수방관하고만 있지 않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북한은 한일 정상회담 결과를 두고 대남 비난에 집중했으나, 당국자 성명이나 담화가 아닌 개인 명의의 기고문 형식으로 수위 조절한 것으로 보인다.
댓글 많은 뉴스
원자력 석학의 일침 "원전 매국 계약? '매국 보도'였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김문수 "전한길 아닌 한동훈 공천"…장동혁 "尹 접견 약속 지킬 것"
조국 또 '2030 극우화' 주장…"남성 일부 불만있어"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