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상수원 이전 해법은?…학계·시민사회 "상류 이전만이 답 아냐"

입력 2025-08-21 16:58:55 수정 2025-08-21 20:41:18

입 모아 "상류 이전은 임시방편…다변화·본류 수질 관리 강화해야"
빗물 저장·강변여과수 등 새 대안도 제시
"시민 참여 없이는 맑은 물 확보 불가" 시민 역할 강조하기도

21일 대구YMCA청소년회관 1층 카페에서 상수원 이전 대책을 논의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정두나 기자
21일 대구YMCA청소년회관 1층 카페에서 상수원 이전 대책을 논의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정두나 기자

정부가 낙동강 상수원 다변화 사업을 원점에서 재검토하겠다는 뜻을 내비친 가운데, 대구 시민사회가 상수원 문제 해결을 위한 대안 모색에 나섰다.

대구YMCA는 21일 오후 2시 '대구시 상수원 이전, 어떻게 할 것인가'라는 주제로 토론회를 열었다. 이날 약 30명의 시민과 각계 교수들은 낙동강 상수원을 상류로 이전하는 대책이 유일한 해법인지 검토하고, 대안을 고민하기 위해 모였다.

대구시는 지난 30년간 이어온 지역 물 문제 해소를 위해 지난해 취수원을 안동댐으로 이전하는 '맑은 물 하이웨이' 사업 추진에 나섰지만 최근 환경부의 사업 전면 재검토 방침에 유보 상태에 빠졌다. 취수원 이전 후보지로는 기존의 안동댐을 비롯해 구미 해평취수장, 구미보 상류 지점인 일선교 부근 3곳이 꼽힌다.

발표를 맡은 이승준 경북대 응용생명과학부 교수는 무작정 상류의 물을 가져오는 것은 근본 대책이 될 수 없다고 주장했다. 낙동강 상류 역시 농업·공업용수로 사용돼 오염된 것은 마찬가지인 데다 오염 사고가 날 때마다 매번 상류로 취수원을 옮기는 방식은 한계가 있다는 이유에서다.

실제로 지난 2017년 전국 하천과 호수, 늪 258곳을 조사해 퇴적물 오염도를 살핀 결과, 안동댐은 유일하게 매우 나쁨 등급을 받았다. 이곳은 인근 아연 제련소와 폐광산에서 나온 비소, 카드뮴, 납 등의 중금속으로 인해 오염이 심각한 것으로 분석됐다.

이 교수는 "낙동강 본류를 깨끗하게 관리하는 게 우선이지만, 수십년이 지나도록 이야기에 진전이 없다"며 "또 장기적으로 사고가 날 경우를 대비해, 취수원을 한 곳에 한정하지 않고 물을 구할 수 있는 방법을 다변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해동 계명대 환경공학과 교수는 "결국 다변화와 안전한 원수 확보가 핵심인데, 기존 대책은 이 원칙을 지키지 못한다"며 "정화하는 강변여과수나 빗물 저장처럼 현실적으로 접근 가능한 방법을 찾는 일도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시민들은 역시 '환경 경찰제' 도입을 통한 수질 관리 등 새 취수원을 찾는 대신 본류를 정화해 활용하자는 의견을 내놨다.

이들은 맑은 물 확보를 위한 시민 참여도 강조했다.

서병철 대구YMCA 사무총장은 "시민들이 관심을 가지지 않으면 맑은 물 확보를 위한 동력을 잃을 수 밖에 없다"며 "취수원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시민들의 목소리를 모으는 자리를 재차 마련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