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 사회적현물이전 소득통계 발표
의료·교육 지원이 93.5% 차지해 큰 비중
정부가 국민에게 제공하는 무상의료·교육 등 현물복지 혜택이 가구당 연평균 924만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가구소득의 12.9% 수준으로, 정부가 대신 지출해주는 효과를 보이며 소득 불평등 개선에도 기여하고 있다.
18일 통계청이 발표한 '사회적현물이전을 반영한 소득통계 작성 결과'에 따르면 2023년 기준 사회적현물이전소득은 평균 924만원으로 1년 전보다 0.1% 증가했다. 가구소득에 사회적현물이전을 더한 조정가구소득은 8천109만원으로 1년 전보다 5.5% 늘었다.
사회적현물이전은 국가가 가구나 개인에게 제공하는 무상교육, 무상보육, 의료비 지원 등을 말한다.
소득 계층별로 보면 사회적현물이전의 재분배 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소득 1분위(하위 20%)는 723만원의 혜택을 받아 가구소득 대비 48.0%에 달했다. 반면 소득 5분위(상위 20%)는 1천233만원의 혜택을 받았지만 가구소득 대비 비율은 7.4%에 그쳤다.
연령대별로는 40대가 1천469만원으로 가장 많은 혜택을 받았고, 30대 이하가 609만원으로 가장 적었다. 가구원수별로는 5인 이상 가구가 2천919만원으로 가장 컸고, 1인 가구는 343만원이었다.
부문별로는 의료 부문이 472만원으로 전체의 51.1%를 차지해 가장 컸다. 교육 부문은 392만원(42.4%)으로 뒤를 이었다. 의료와 교육 부문을 합치면 전체 사회적현물이전의 93.5%에 달한다. 보육 부문은 35만원(3.8%), 기타바우처는 25만원(2.7%)이었다.
사회적현물이전은 소득 불평등 개선에도 상당한 효과를 보였다. 이를 반영한 지니계수는 0.279로 반영 전(0.323)보다 0.044 감소했다. 지니계수는 0에 가까울수록 평등함을 의미한다.
소득 5분위배율도 4.28배로 반영 전(5.72배)보다 1.44배포인트 낮아졌다. 상대적 빈곤율은 10.7%로 4.2%포인트 개선됐다.
연령층별로는 은퇴연령층(66세 이상)에서 개선 효과가 가장 컸다. 지니계수는 0.079, 소득 5분위배율은 2.80배포인트, 상대적 빈곤율은 11.6%포인트 각각 개선됐다.
이번 통계는 가계금융복지조사 표본 2만 가구를 대상으로 실험적통계로 작성됐다. 통계청은 이용자 의견 수렴과 타당성 확인을 거쳐 향후 국가승인통계로 전환할 계획이다.
댓글 많은 뉴스
'조국 특사' 때문?…李대통령 지지율 51.1%, 취임 후 최저치
"함께 보실 분"…李대통령, 내일 영화 '독립군' 국민 동반 관람
'전교조 출신 첫 교육부 장관, 민변 출신 여가부 장관'…청문회 순탄할까?
윤준병 "조국 사면 이후 사람들 침묵을 '아빠찬스' 동의로 해석하는 건 잘못"
[속보]윤석열 "건강 안좋아…" 내란 우두머리 재판 5회 연속 불출석, 궐석재판 진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