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고량 부족 흔한일'…병·의원 마약류 관리 의료진 양심에 맡겨

입력 2025-08-17 15:45:17 수정 2025-08-17 20:35:36

철저한 보관에 드는 엄청난 비용…사고 가능성 배제 못해
대부분 병·의원들 관리 철저히 하지만 복잡한 과정에 어려움 호소
계명대동산병원, 의약품 관리 위해 1억5천만원 장비 도입

13일 계명대동산병원 약제센터에서 의료진이 마약류의약품을 꺼내고 있다. 계명대동산병원은 마약류 의약품 보관을 위해 철제금고에 사원증 카드를 찍은 뒤 열쇠를 이용해 여는 이중잠금장치를 설치해 보관하고 있다. 모든 의료기관에서는 마약류 의약품을 보관할 때는 이중잠금장치가 설치된 보관장치를 이용하도록 규정돼 있다. 이화섭 기자.
13일 계명대동산병원 약제센터에서 의료진이 마약류의약품을 꺼내고 있다. 계명대동산병원은 마약류 의약품 보관을 위해 철제금고에 사원증 카드를 찍은 뒤 열쇠를 이용해 여는 이중잠금장치를 설치해 보관하고 있다. 모든 의료기관에서는 마약류 의약품을 보관할 때는 이중잠금장치가 설치된 보관장치를 이용하도록 규정돼 있다. 이화섭 기자.

"보관중이던 마약류 의약품 재고량이 모잘라 지인에게 처방을 하거나 의약품 도매상에게 빌려 수량을 맞추는 경우도 종종 있습니다."

일선 병의원 마약류 의약품 관리 실태의 허술함을 여실히 보여주는 한 의원 관계자의 전언이다.

병·의원은 마약류 의약품 관리가 미흡할 경우 영업 정지나 면허 취소 등 불이익을 크다. 이 때문에게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지만 일손이 모자라는 현실에서 늘 허점에 노출된다. 특히 의원의 경우 마약류 관리를 상당부분 의료인의 양심에 따라 관리하고 있어 사고 위험은 늘 상존한다.

2018년부터 모든 의료기관은 마약류 의약품 사용에 대한 전 과정을 식품의약품안전처 마약류통합관리시스템(NIMS·님스)에 기록하도록 규정돼 있다. 마약류 의약품의 경우 생산 과정에서 포장마다 일련번호 등 추적할 수 있는 근거자료를 기록한다.

NIMS를 이용해 구입, 등록, 사용, 폐기 과정을 모두 기록해야 하는 과정은 매우 번거롭다. 대구 수성구의 건강검진 영상의학과 의원의 경우 보관량, 사용량, 폐기량 등을 수기 대장에 기록한 뒤 이를 의사의 처방량과 대조한다. 이를 또 NIMS에 기록하는 등 절차가 번거롭고 일손이 많이 들어간다.

이 의원 관계자는 "NIMS 시스템 홈페이지 안에 사용 방법에 대한 설명이 나와있지만 쉽게 따라하기 힘든 부분이 많아 처음 접하는 의료진들에게 아무래도 실수가 따르기 마련"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이같은 이중삼중 절차에도 의료진이 환자의 진료기록부를 조작해 사용량을 조작하는 방법 앞에서는 무력해진다. 폐기 과정에서도 의료진이 양심을 속이는 경우 막을 방법이 없다. 이 의원 관계자는 "환자가 '마취약이 잘 안듣는 편'이라며 더 많은 투약을 요구하거나, 의료진이 실제 투여량보다 진료기록부상 투여량을 더 높게 잡은 뒤 차이나는 부분을 빼돌린다면 밝혀낼 수 없다"고 지적했다.

13일 계명대동산병원 수술센터 의료진이 의약품을 받기 위해
13일 계명대동산병원 수술센터 의료진이 의약품을 받기 위해 '인티팜' 장비에 손가락 정맥을 인식시키고 있다. 이화섭 기자.

상급종합병원의 경우 마약류 의약품이 훨씬 많이 쓰이는 탓에 관리가 더 힘들다고 호소한다.

계명대동산병원 수술센터 안에는 수술에 쓰이는 의약품 관리를 위해 '인티팜'이라는 장비를 도입했다. 수술을 위해 의사가 마취제나 마약성 진통제 등을 병원 내 프로그램을 통해 처방하면 의약품 관리 직원이 처방을 확인 후 인티팜을 통해 지급받는 방식이다. 마약류를 지급받기까지는 손부위 정맥 확인, 비밀번호 등 이중장치가 돼 있다

이 장비가 도입된 후 마약류 의약품 관리가 수월해지긴 했지만 1대 당 가격이 1억원을 넘는다. 동산병원 관계자는 "예전에는 마약류 의약품 재고 숫자가 안 맞으면 그걸 찾느라 퇴근도 못 했는데 지금은 그런 일은 없다"며 "다만, 장비들이 너무 고가라 다른 상급종합병원들도 쉽게 도입하기 힘든 면이 있다"고 전했다.

장비를 들일 수 없다면 마약류 의약품만 관리하는 전담인력을 둘 수밖에 없다. 이 조차도 인건비 문제가 있어 쉬운 일은 아니다. 한 상급종합병원 관계자는 "마약류 의약품 관리는 사람이 하나하나 검사하고 확인해야 하는 작업이지만 마약류 의약품 수가에 관리 비용은 포함되지 않는다. 국가에서 관리 비용을 지원해주는 것 없이 의료기관에만 책임을 물리고 있다"며 아쉬움을 토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