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6·27 가계대출 규제'와 은행권의 추가 대출 억제 조치 영향으로 지난달 가계대출 증가 폭이 절반 이하로 줄었다. 그러나 한국은행은 서울 집값 상승률과 금리 인하 기대 등 불안 요인이 남아 있어 추세적 안정 여부는 더 지켜봐야 한다고 진단했다.
한은이 13일 발표한 '금융시장 동향'에 따르면 7월 말 기준 예금은행의 가계대출(정책모기지론 포함) 잔액은 1천164조2천억원으로, 전월 대비 2조8천억원 증가했다. 이는 6월(6조2천억원) 대비 55% 축소된 규모다.
세부적으로 전세자금 대출을 포함한 주택담보대출(926조4천억원)은 3조4천억원 늘었으나, 신용대출 등 기타대출(236조8천억원)은 6천억원 감소했다. 박민철 한은 시장총괄팀 차장은 "최근 몇 달간 주택 거래 증가로 주택구입 목적 대출이 늘었지만, 6·27 규제 시행 후 생활자금용 주담대와 신용대출이 빠르게 줄면서 전체 증가 폭이 둔화됐다"고 설명했다.
향후 전망과 관련해 박 차장은 "규제 이후 집값과 대출 과열세가 대체로 진정되는 흐름"이라면서도 "서울 주요 지역 집값 상승률이 여전히 높고, 금리 인하 기대와 지역 간 풍선효과 같은 요인이 잠재돼 있어 안정세가 지속될지는 불확실하다"고 말했다.
같은 날 금융위원회·금융감독원이 발표한 '가계대출 동향'에서도 금융권 전체 가계대출 잔액은 지난달 2조2천억원 증가하는 데 그쳤다. 전월(6조5천억원) 대비 34% 수준이며, 지난 3월(+7천억원) 이후 가장 낮은 증가 폭이다.
은행권에서는 2조8천억원 늘었으나, 2금융권은 6천억원 감소해 상반된 흐름을 보였다. 금융당국은 "가계대출 증가세 둔화가 확인됐지만, 시장 상황을 면밀히 모니터링하며 필요 시 추가 대책을 강구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래픽] 은행 가계대출 증감 추이 (서울=연합뉴스) 김민지 기자 = 한국은행이 13일 발표한 \](https://www.imaeil.com/photos/2025/08/13/2025081316274295200_l.jpg)
댓글 많은 뉴스
[야고부-조두진] 조국·윤미향과 정의
"탈의실 아내 몸 훤히 보여"…경북 유명 호텔, 女사우나 노출 논란
[관풍루] '친윤 대 반윤'에 이어 '친길 대 반길' 타령하며 침몰 중인 국힘
문경 하늘 수놓은 초대형 '쌍무지개'…"좋은 징조 아니냐" 주민들 감탄
'김건희 집사' 김예성, 12일 귀국 예정…특검, 즉시 체포 시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