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부동산 허위매물 상반기 415건 적발…비수도권 3위

입력 2025-08-13 14:14:45 수정 2025-08-13 21:33:11

남구 대명동 42건으로 최다 집계
수성구 범어동은 26건 기록

사진은 남산에서 본 서울. 연합뉴스
사진은 남산에서 본 서울. 연합뉴스

2025년 상반기 허위매물 통계 분석. 한국인터넷자율정책기구 제공
2025년 상반기 허위매물 통계 분석. 한국인터넷자율정책기구 제공

올 상반기 대구에서 적발된 부동산 허위매물이 415건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비수도권에서 부산(886건), 대전(439건)에 이어 세 번째로 많은 수치다.

14일 한국인터넷자율정책기구(KISO) 부동산매물클린관리센터의 '2025년 상반기 허위매물 통계 분석' 자료에 따르면 1월부터 6월까지 대구에서 확인된 허위매물은 415건이었다.

동별로 세분화해 보면 남구 대명동이 42건으로 가장 많았고, 수성구 범어동 26건, 중구 서성로1가 21건, 달서구 감삼동 18건, 달성군 다사읍 17건이 뒤를 이었다. 이어 수성구 만촌동 16건, 동구 신암동 13건, 서구 평리동과 동구 신천동이 각각 12건, 달성군 유가읍 10건 순으로 집계됐다.

구별 집계에서는 수성구와 달서구가 각각 70건으로 공동 1위를 기록했다. 중구 69건, 남구 48건, 동구 45건, 북구 44건, 달성군 42건, 서구 27건이 뒤를 따랐다.

허위매물 신고 사유별로는 '거래완료'가 271건(65.3%)으로 압도적 비중을 차지했다. 이어 '허위가격' 94건(22.7%), '기타' 45건(10.8%), '매도자 사칭' 5건(1.2%) 순이었다.

거래완료 매물을 계속 노출시키는 유형이 대구 허위매물의 3분의 2를 차지한 것은 중개업소들이 매물 확보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해 이미 팔린 매물을 의도적으로 방치하는 관행 때문으로 풀이된다.

전국적으로는 올해 상반기 총 1만5천935건의 허위매물 신고 중 1만1천339건이 실제 허위매물로 확인됐다. 이 가운데 75%(8천556건)가 수도권에 집중됐다.

세부 지역별로는 서울 서초구 서초동이 222건으로 최다를 기록했고, 경기 광명시 철산동이 205건으로 뒤를 이었다. 두 지역 모두 재건축과 개발 호재로 부동산 수요가 증가하면서 허위매물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6월 한 달 동안 전국 허위매물 신고가 3천553건으로 급증했으나, 6월 27일 정부 부동산 대책 발표 이후 신고량이 33% 감소했다.

정책 발표 이전(6월 1일~26일)에는 일평균 125건의 신고가 접수됐지만, 발표 이후(6월 27일~7월 22일)에는 일평균 83건으로 줄었다. 강력한 규제로 부동산 시장 참여자들이 관망세로 돌아서면서 매물 검색과 거래 활동이 위축된 데 따른 현상으로 풀이된다.

KISO는 상반기 허위매물 적발에 따라 전국 201개 중개사무소에 제재를 부과했다. 이들 중개업소는 네이버페이 부동산, 다방, KB부동산 등 27개 부동산 플랫폼에서 일정 기간 매물 등록이 제한된다.

신익준 KISO 사무처장은 "자율규제를 기반으로 한 매물 등록 제한 제도는 허위매물 감소에 실질적 효과가 있다"며 "국민이 안심하고 부동산 거래를 할 수 있도록 공정하고 투명한 매물 유통 환경 조성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

KISO 부동산매물클린관리센터는 2012년 설립 이후 27개 부동산 플랫폼과 협업해 실시간 허위매물 감시 체계를 운영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