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트라 '중국 자동차 산업 최신 동향 및 시사점' 보고서
중국 자동차 산업이 성장하면서 한국 부품 업계가 기회를 맞을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5일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코트라)가 발간한 '중국 자동차 산업 최신 동향 및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자동차 시장은 2023년 연간 생산·판매 각각 3천만대, 수출 500만대를 돌파한 이래 세계 최대 자동차 시장 지위를 굳히고 있다.
특히 전기차 생산·판매가 전체 시장에서 40% 이상을 차지해 중국 자동차 시장 성장을 견인하는 동력이 되고 있다. 2024년 기준 중국 브랜드의 현지 전기차 시장 점유율도 80%를 돌파해 중국 브랜드 약진 현상이 두드러진다.
코트라는 중국의 급격한 전기차 시장으로의 전환이 가져온 부작용에도 주목했다. 실제 2020년부터 중국 전기차 업계는 저가 출혈 경쟁이 심화되는 추세다.
2024년 기준 연간 40만대를 팔아 손익분기점을 넘긴 전기차 기업은 전체 130여개 중 BYD(비야디), 리샹(理想), 하이마(HIMA), 광치아이안(AIAN) 등 4개 사에 불과하다.
자국 시장 내 경쟁 격화에 따라 중국 자동차사들이 전기차 중심으로 수출에 활발히 나서면서 미국, 유럽연합(EU), 중남미 등이 반작용으로 반덤핑·반보조금 상계관세 부과, 기업 투자 제한 등의 대응을 하고 있다는 점에도 보고서는 주목했다.
코트라는 중국 자동차 기업들이 한국 자동차 기업의 경쟁 대상이지만 중국 전기차 산업의 발전 흐름을 타고 한국 기업들이 전기차에 들어가는 부품을 공급하는 등 새로운 기회를 찾을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한국 기업이 강점을 지닌 ▷차량용 반도체 ▷초경량 소재 ▷전기차용 솔루션 ▷감속·변속 기술 등 분야에서 중국 시장을 공략할 기회가 커질 수 있다는 것이다.
이지형 코트라 부사장 겸 경제통상협력본부장은 "중국 자동차 시장 특성과 실수요를 반영한 기술·부품 개발, 현지 기업과의 파트너십 강화를 통해 경쟁력을 확보해야 한다"며 "중국 내 관련 협회와의 기술 협력 네트워킹, 지역별 강소 기업과의 수요 연결 강화 등을 지원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인터뷰] 주호영 국회부의장 "절박감·전투력 없는 국힘, 민주당에 못 당해"
국힘 당권주자들, 후보 등록 후 '찬탄'도 '반탄'도 나란히 TK로
장동혁 "계엄 유발한 정청래, 내란교사범·내란주범"
"땡전 뉴스 듣고 싶나"…野 신동욱, 7시간 반 '필리버스터'
한미 관세협상 타결 영향?…李 대통령 국정지지율 6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