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AI 전담조직 신설…휴머노이드 등 신사업 가속화

입력 2025-08-04 17:18:34

서울 서초구 삼성전자 사옥에서 깃발이 바람에 날리고 있다. 연합뉴스
서울 서초구 삼성전자 사옥에서 깃발이 바람에 날리고 있다. 연합뉴스

삼성전자가 인공지능(AI) 과제 전담 조직을 신설하고 신사업 추진을 가속화한다.

4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 디바이스경험(DX)부문은 이날 핵심 전략 과제 전담 조직인 '이노X 랩'(InnoX Lab)을 신설했다고 공지했다. 이노베이션(Inno)과 트랜스포메이션(X)을 결합한 조직명에는 혁신과 변화를 주도한다는 뜻이 담겼다.

이노X 랩은 AI 시대에 유연한 협업과 빠른 실행을 위한 새로운 조직 모델로, 전사 차원의 메가 과제 및 각 사업부의 도전적 전략 과제를 전담해 단기간 내 실질적인 성과를 창출하는 실행형 조직으로 알려졌다.

이날부터 운영을 시작한 이노X 랩은 ▷디지털 트윈 설루션 적용 및 확산 ▷로지스틱스 AI 적용을 통한 물류 운영 모델 혁신 ▷피지컬 AI 기술을 제조 자동화 추진 ▷휴머노이드 로봇 핵심기술 개발 등의 과제를 수행할 계획이다.

과제별로 필요 역량을 가진 인재는 조직간 경계를 넘어 유연하게 선발, 충원하고 이를 통한 과제 중심의 유기적 협업 체계를 기반으로 DX 부문의 핵심 역량을 결집할 방침이다.

향후 전사 차원의 메가 과제는 이노X 랩을 통해 적극 추진한다는 전략이다. 특히 이번 조직 신설은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그동안 거듭 강조해온 기술 중요성과 무관하지 않다는 해석이다.

이 회장은 그간 "기술 중시, 선행 투자의 전통을 이어 나가자. 세상에 없는 기술로 미래를 만들자", "첫 번째도 기술, 두 번째도 기술, 세 번째도 기술"이라며 기술 경쟁력을 강조해왔다.

이에 이르면 올해 하반기에서 내년쯤 내놓을 계획이었던 '세상에 없는 기술'을 바탕으로 한 제품 및 서비스 역시 이노X 랩이 힘을 보탤 가능성도 점쳐진다.

이와 별개로 삼성전자는 내부 AI 역량을 꾸준히 강화하고 있다. 앞서 삼성전자는 지난 5월 임직원의 AI 기반 업무 생산성을 향상하기 위해 DX 부문에 'AI 생산성 혁신 그룹'을 신설하는 등 AI 시장을 주도하는 'AI 드리븐 컴퍼니'(AI Driven Company)로의 전환에 속도를 내는 중이다.

AI 생산성 혁신 그룹은 일종의 컨트롤타워로, 전사 AI 인프라·시스템 구축과 AI 활용 실행 지원, 우수 사례 확산 등 전사 AI 생산성 혁신을 리딩하는 핵심 조직 역할을 맡았다. 각 사업부에는 'AI 생산성 혁신 사무국'도 새롭게 설치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