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생 경제 회복' 잰걸음 중인 새 정부, 광복절 특사 '대규모' 되나

입력 2025-08-04 15:45:58

사면·복권은 대통령 고유 권한…민생 경제 살리기 방점 찍힐듯
자영업자·소상공인·생계형 경범죄자·교통법규 범칙자 등 대거 포함 전망
尹 정부 시절 집단 파업으로 수감된 노동자도 명단 물망

이재명 대통령이 1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전국 시도지사 간담회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이 1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전국 시도지사 간담회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의 8·15 광복절 특별사면 시기가 다가오면서 생계형 경범죄자 등 민생경제 사범에 대한 대폭의 특사가 이뤄질 것이란 관측이 적지 않다. '더 센 상법 개정안', '노란봉투법' 등 새 정부의 기업 옥죄기 논란 속에 이 대통령이 이에 대한 비판 여론을 잠재우기 위해 다수 기업인을 사면할 것이란 전망도 제기된다.

4일 정치권에 따르면 역대 정부는 대통령 고유 권한을 활용해 민생경제 사범, 기업인, 정치인 등을 대상으로 한 특별사면을 해 왔다. 특히 정치인 사면의 경우 국민적 반발을 사는 등 '역풍'이 일 수 있어 정권 초기 특사는 주로 민생경제 사범, 기업인 등을 중심으로 이뤄져 왔다.

윤석열 전 대통령 역시 취임 첫 해 특별사면에서 정치인을 일절 포함시키지 않은 채 민생에 방점을 두고 권한을 행사했다. 당시 운전면허 행정 제재 특별 감면, 생계형 어업인 행정 제재 특별 감면 등 특사 대상자는 60만명에 육박했다.

이재용 삼성전자 당시 부회장,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 등 경제인, 종소기업인·소상공인 등 수십명도 특사 대상에 올랐다. 노사 통합을 위해 민주노총, 한국노총 등 노사 관계 사범 일부도 사면됐다.

이명박 전 대통령, 김경수 전 경남도지사 등 정치인들도 특사 후보로 거론됐으나 불필요한 논란을 일으켜 국정 운영이 부담이 될 것으로 보고 제외했다.

새 정부 역시 첫 특사는 위와 같은 틀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을 것이란 관측이 제기된다. 그간 민생경제 살리기 행보를 이어온 이재명 대통령이 이와 궤를 같이해 자영업자·소상공인·생계형 경범죄자·교통법규 범칙자 등에 대한 사면에 힘을 줄 것이란 전망이다.

윤석열 정부 시절 집단 파업을 벌이다 수감된 건설노조, 화물연대 노동자들도 이번 사면 명단에 포함될 것이란 예측도 나온다. 이 대통령은 지난달 3일 비교섭단체 5당 지도부와 비공개 오찬 자리에서 '정치검찰 수사로 피해를 본 노동자를 사면 대상에 포함시켜 달라'는 요청을 받았다고 알려지고 있다.

이번 민생경제 사범 등 특사 규모도 윤 정부 첫 사면 당시와 마찬가지로 수십만 명 규모가 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정치권 한 관계자는 "최근 주가가 요동치고 반기업적 세제 개편, 법안 처리 등으로 정부·여당에 대한 반감이 커지고 있어 특사 대상에 어느 때보다 관심이 쏠린다"면서 "정치인은 최대한 배제한 채 경제 살리기 의지를 담아 다수 기업인을 특사 명단에 포함할 수도 있다"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