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부, 'OECD 보건통계 2025' 보고서 발표
자살사망률은 2003년 이후로 부동의 1위 유지
우리 국민의 기대수명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평균보다 2년 넘게 긴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스스로 세상을 등지는 비율은 OECD 국가 가운데 가장 높았다.
30일 보건복지부가 공개한 'OECD 보건통계(Health Statistics) 2025'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기준 우리나라 기대수명은 83.5년으로, OECD 국가 평균(81.1년)보다 2.4년 길었다.
기대수명이란 해당연도 출생아가 앞으로 살 것으로 기대되는 햇수를 뜻한다.
높은 수준의 기대수명과 의료의 질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자살사망률은 OECD 국가 1위를 차지했다. 2003년 이후 부동의 1위를 유지하고 있다. 비교 가능한 최신 통계인 2022년 기준 우리 인구 10만명당 자살 사망률은 23.2명으로, OECD 평균(10.7명)의 2배를 넘었다.
다만 우리나라 자살 사망률은 OECD 국가들보다 더 빠른 속도로 감소 중이다. 우리 자살 사망률은 2012년 30.3명에서 2022년 23.2명으로 23.4% 내렸고, 같은 기간 OECD 평균은 12.8명에서 10.7명으로 16.4% 감소했다.
2023년 현재 우리나라의 GDP 대비 경상의료비(보건의료부문 서비스·재화에 쓴 국민 전체의 1년간 지출 총액)는 8.5%로, OECD 평균(9.1%)보다 작았다. 하지만 우리 국민 1인당 경상의료비는 고령화 등의 영향으로 지난 10년간 연평균 7.8%씩 늘어 OECD 평균 증가율(5.2%)을 웃돌았다.
2023년 우리나라의 65세 이상 노인 인구 중 유급 장기요양서비스를 집에서 받는 비율은 9.0%였다. 이는 OECD 평균(11.2%)보다 낮은 값이다. 시설에서의 장기요양서비스 수급 비율도 우리나라는 2.7%로, OECD 평균(3.5%)보다 낮았다.
2023년 우리나라 15세 이상 인구 중 매일 흡연하는 사람의 비율은 OECD 평균(13.2%)보다 높은 15.3%였다. 매일 흡연자 비율은 2013년 19.9%, 2018년 17.5%에 이어 2023년까지 감소 추세를 이어가고 있다.
순수 알코올을 기준으로 측정한 우리나라 15세 이상 인구 1인당 주류 소비량은 2023년에 연간 7.8리터로, OECD 평균(8.6리터)보다 적었다. 흡연율과 마찬가지로 주류 소비량도 최근 10년 사이 계속 줄었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가수 영탁, FC바르셀로나 대구경기 시축+축하공연 확정…대구스타디움 뒤흔든다
李대통령, 8·15 광화문서 '국민 임명식' 진행…尹 부부 제외 전직 대통령들 초대
경찰, 이철우 경북도지사 관사 압수수색…"결코 좌시하지 않겠다"
한동훈, 당대표 후보 검증 나선 전한길 두고 "진극 감별사"…김문수·장동혁 향해선 "'극우 없다'면서 줄서기"
李대통령, 과한 수사 제동…李경북도지사 첫 사례 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