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윤덕 국토장관 후보, 분양권 전매 비판하더니 본인도 전매 이력

입력 2025-07-28 15:48:31 수정 2025-07-28 20:24:42

아파트 분양 2년 후 4천만원 매도…金 "대물변제용, 투자 목적 아냐"
딸 전셋값 6억5천만원 '부모 찬스'

김윤덕 국토교통부 장관 후보자가 15일 정부과천청사에 마련된 인사청문회 준비 사무실로 첫 출근하고 있다. 연합뉴스
김윤덕 국토교통부 장관 후보자가 15일 정부과천청사에 마련된 인사청문회 준비 사무실로 첫 출근하고 있다. 연합뉴스

서민들의 주거문제를 책임질 김윤덕 국토교통부 장관 후보자가 과거 분양권을 전매했던 행적이 알려지면서 논란이 확산하고 있다.

28일 정부가 국회에 제출한 김 후보자 인사청문요청안 자료에 따르면 김 후보자는 전북 도의원에 당선(2006년)되기 전 전북 전주시 소재의 아파트 분양권(전용면적 112.90㎡)을 소유하고 있었다.

김 후보자는 이 아파트가 준공된 해인 2008년 당시 실거래가 4천만원(공시가격 6천만원)에 분양권을 전매했다고 전북도의회에 신고했다. 신고 당시 실거래가 2억7206만원이었던 분양권 가격의 약 7분의 1 가격에 매도가 성사됐다.

이에 대해 김 후보자 인사청문준비단은 "과거 채무자 사정으로 부득이 대물변제로 분양권을 취득하고 나중에 이를 매각했다"며 "투자 목적으로 분양권을 취득한 사실이 없다"고 해명했다.

하지만 김 후보자는 2022년 지방선거 더불어민주당 전북도지사 경선 당시 텔레비전 토론회에서는 상대 후보였던 김관영 현 전북도지사의 2016년 아파트 분양권 전매에 대해 비판을 쏟아낸 것으로 확인돼 '내로남불'이라는 지적을 받고 있다.

특히 부동산 시장에선 "부동산 규제에 대해서조차 이중 잣대를 가진 후보자가 과연 부동산 정책을 총괄하는 국토부 장관으로 능력과 도덕성을 갖추고 있는지 의문"이라면서 "분양권 전매 제한이 정부의 가장 강력한 부동산 규제 수단의 하나라는 점에서 국민들에게는 중요한 문제일 수 있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아울러 김 후보자는 장녀의 아파트 전셋값 6억5천만원 전액을 현금으로 지원해 부모 찬스 논란도 야기하고 있다.

김 후보자는 부인과 금액을 나눠 자신은 저리로 딸에게 전세금을 빌려주면서 차용증을 작성했고 부인은 무이자로 전세금을 딸에게 빌려주는 방식으로 증여세 납부를 피했다.

정치권에선 부동산 정책을 총괄하는 국토부 장관 후보자가 자녀의 전세금을 전액 지원하고 증여세 의혹까지 받는 건 국민 정서와 맞지 않는다는 지적이 나온다.

정부가 앞서 6·27 부동산 대책으로 수도권 주택담보대출 한도를 6억원으로 규제하는 등 고강도 정책을 추진하는 상황에서 정작 이를 총괄해야 할 부처 수장이 부동산 관련 의혹을 받고 있기 때문이다.

국민의힘을 비롯한 야당은 국회 인사청문회에서 김 후보자의 도덕성을 집중 검증한다는 방침이지만 여당인 민주당은 야당의 과도한 비판은 '국정방해'라고 규정하고 김 후보자 엄호에 집중하기로 했다. 김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회는 29일 국회에서 열릴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