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대통령 '이자장사' 경고에…금융권 "100조원 펀드"

입력 2025-07-28 15:40:55 수정 2025-07-28 19:37:19

금융위, 생산적 투자 방안 논의…예대마진·부동산 중심 영업 탈피

권대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이 28일 서울 여의도 금투센터에서 열린 보이스피싱 근절을 위한 현장 간담회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권대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이 28일 서울 여의도 금투센터에서 열린 보이스피싱 근절을 위한 현장 간담회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자놀이'로 상반기 최대 실적을 기록한 시중은행을 향해 금융당국이 미래 산업과 벤처기업 등 생산적 분야로 자금 흐름을 돌릴 것을 당부했다. 최근 이재명 대통령이 금융기관을 향해 '이자놀이'보다 생산적 투자에 힘써야 한다고 강조한 데 따른 후속 조치다.

금융위원회는 28일 권대영 부위원장 주재로 은행연합회, 금융투자협회, 생명보험협회, 손해보험협회, 저축은행중앙회 등 금융업권 협회장들과 간담회를 열고 생산적 금융 확대 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권 부위원장은 이 자리에서 "금융권이 부동산과 담보대출에 과도하게 의존해왔다는 국민 비판이 지속되고 있다"며 "인공지능(AI)과 첨단산업, 벤처기업, 자본시장, 소상공인 등 생산적 분야로 자금이 흘러갈 수 있도록 금융이 제 역할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금융당국은 이와 함께 대출 자산의 위험가중치 산정 방식을 개편하는 작업에 착수해 주택담보대출 중심의 자금 편중을 해소하겠다는 방침이다.

금융권도 이에 호응해 각 업권별로 생산적 금융으로의 전환 의지를 나타냈다. 은행권은 기존의 예대마진과 부동산 중심 영업에서 벗어나겠다고 밝혔으며, 금융투자업계는 모험자본 공급 확대를, 보험업계는 장기 국내 투자 확대를 예고했다.

또한 금융권은 민관합동으로 100조원 규모의 첨단·벤처기업 투자 펀드 조성에 적극 참여하겠다고 밝혔다. 소상공인 지원 확대와 신용평가시스템 구축 등도 함께 추진하기로 했다.

금융위원회는 향후 금융감독원, 금융권, 시장참여자 및 전문가들과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현장 중심의 제도 개선을 이어나갈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