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주철신경외과의원] 특허받은 기구로 추간공확장술…수술없이 척추관협착증 치료

입력 2025-07-30 06:30:00

홍주철신경외과의원의 홍주철 원장이 추간공확장술을 시술하고 있다. 홍주철신경외과의원 제공.
홍주철신경외과의원의 홍주철 원장이 추간공확장술을 시술하고 있다. 홍주철신경외과의원 제공.

#1. A(81)씨는 대학병원에서 수차례 신경차단술을 받았지만 양다리 저림 증상이 지속돼 결국 수술을 권유 받았다. 고령이라 수술이 힘들 것으로 본 A씨는 홍주철신경외과의원에서 추간공확장술을 받았다. 요추 5번과 천추 1번 사이의 협착이 확인돼 양측을 추간공확장술 시술했고, 2개월이 지난 뒤에는 "밤에 잠 설치지 않고, 서 있는 것도 편하다"며 큰 호전을 보였다.

#2. 2년 전 요추 3~5번 나사못 고정술과 유합술을 받은 B(68)씨는 수술 후 6개월간 증상이 호전됐지만 다시 척추관협착증이 재발했다. 100m 이상 걷기 어려울 정도로 통증이 심해졌고, 반복적인 신경주사에도 일시적 효과만 봤다. 추간공확장술을 받은 후 보행 가능 거리와 허리 상태가 현저히 개선됐다.

고령 사회가 되면서 퇴행성 척추질환인 '척추관협착증'으로 고통 받는 이들이 늘고 있다. 이 질환은 허리, 엉치, 다리 통증과 저림, 보행 장애를 유발하며 삶의 질을 심각하게 떨어뜨린다.

그러나 고령자나 만성질환자는 척추 수술에 대한 부담과 두려움으로 치료를 미루다 병을 악화 시키는 경우가 많다. 이에 수술 없이 좁아진 신경 통로를 확장해 통증을 개선하는 '추간공확장술 이 새로운 치료법으로 주목받고 있다.

'추간공'은 척추 신경이 지나가는 통로로, 퇴행성 변화에 따라 인대와 뼈가 두꺼워지고 붙어버리며 통증을 유발한다. 추간공확장술은 이 통로의 두꺼워진 인대를 제거하고 붙어버린 부분을 떼어내 실제 공간을 넓히는 치료다. 기존 시술처럼 꼬리뼈를 통한 접근이 아니라 병변 부위에 가까운 옆구리 접근법을 사용해 근손실이나 흉터가 거의 없고 회복이 빠르다.

홍주철 원장은 "척추관협착증의 경우 보존적 치료(약물·물리·신경차단술)는 진행된 증상에 효과가 떨어지고 수술적 치료는 침습성, 마취 위험, 회복 기간 등의 부담이 크다"고 지적한다. 기존 비수술 시술인 신경성형술, 미세내시경 시술 등도 비교적 초기 협착에 적합할 뿐, 두꺼워진 인대를 실제로 제거하지 않으면 장기적인 호전이 어렵다는 게 홍 원장의 설명이다.

홍주철신경외과의원의 추간공확장술은 약 2~3㎜의 절개만으로 특허받은 시술기구를 이용해 옆구리 쪽으로 접근, 두꺼워진 인대를 절제하고 유착을 제거해 실제 좁아진 공간을 넓혀주는 방식이다. 수술과 달리 전신마취 없이 국소마취로 약 15분 내외 시술이 가능하고 당일 퇴원이 가능해, 고령이거나 당뇨 고혈압 등 만성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 기존 척추수술로 재발한 환자, 수술을 두려워하는 환자에게 특히 적합하다.

홍주철 원장은 "추간공확장술은 전신마취 부담 없이 시술 후 곧바로 일상 복귀가 가능해, 고령 환자나 수술 경력이 있는 환자에게 매우 유용하고 무엇보다 실제로 신경이 눌리는 공간을 확장해주므로 장기적인 증상 개선이 가능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