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약 경쟁·분양가 오르자 단기 청약 통장 가입자 수 '쭉' 빠져

입력 2025-07-20 16:04:14

서울 남산 전망대에서 바라본 서울 곳곳이 아파트로 빼곡하다. 연합뉴스
서울 남산 전망대에서 바라본 서울 곳곳이 아파트로 빼곡하다. 연합뉴스

청약 경쟁이 가열하고 분양가가 치솟으면서 청약 통장 단기 가입자 수가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가입기간 4~5년 미만 가입자는 전년 대비 7.6%(16만5천명) 줄어든 총 200만9천500명으로 집계됐다.

4년 이상 5년 미만 가입자 수는 지난 2022년부터 3년 연속 감소세를 이어오고 있다. 지난 2022년 6월 대비 올해 가입자 수는 20.2%(50만9천명)적은 규모다.

6개월 이상∼1년 미만 가입자도 지난달 말 총 112만2천222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동기 대비 9.2%(11만4천명) 축소됐다.

가입자 감소가 본격화한 2021년과 비교 시 4년만에 43.8% 줄었다.

지난해와 올해 '로또 청약' 물량이 잇따라 나오며 청약 시장 분위기를 달궜던 서울은 가입자 감소세가 더 가파르다.

서울은 ▷가입 4년 이상∼5년 미만(35만9천576명) 전년 대비 14.3% ▷6개월 이상∼1년 미만(22만8천751명)은 11.0% 각각 줄었다.

이에 반해 상대적 가입 기간이 길어 청약 시장에서 유리한 고지를 점하는 장기 가입자들은 크게 늘어나고 있다.

전국의 10년 이상∼11년 미만 가입자는 지난달 말 기준 121만5천36명으로 39.1%(34만2천명) 증가했다.

15년 이상 통장을 보유한 가입자는 40.4%(75만7천명) 늘었다.

단기 가입자 감소는 정부의 주택 관련 대출 규제 강화로 서울 인기 단지 중심으로 분양가가 치솟으면서 이같은 형상이 발생하고 있다고 지목된다.

주택도시보증공사(HUG)에 따르면 6월 말 기준 서울의 ㎡당 평균 분양가는 전년 동월 대비 9.97%오른 1천393만9천원으로 조사됐다. 국민평형 공급면적(112㎡)기준으로 환산하면 15억6천만원이 평균인 셈이다.

이런 가운데 주택 담보 대출과 소유권 이전 조건부 전세대출을 금지한 6·27규제 영향으로 단기 가입자 이탈이 더 늘 수 있다는 예측도 나온다.

권일 부동산인포 리서치팀장은 "최근 분양가는 계속 오르는데 공급은 안 나온다고 하고, 이런 상황에서 3∼5년짜리 통장을 쥐고 있어봐야 15년, 20년 이상 된 가입자한테 안 된다고 생각하는 것"이라며 "6·27규제 등으로 분양 시장 분위기가 가라앉으면 청약 통장에 대한 관심도 사라져 신규 가입이 줄거나 기존 가입자 이탈도 나올 수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