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 홈 경기서 세징야 선제골 등 모처럼 선제 멀티골…김천의 공세에 결국 패배
대구FC가 18일 홈 경기에서 최악의 결과를 낳았다. 선제 멀티골을 터뜨리고도 이를 지키지 못한 채 오히려 역전패까지 당했다. '탈꼴찌 경쟁'을 벌이는 수원FC는 같은 날 승리를 챙기면서 리그 후반기 상황도 대구에게 불리하게 돌아가고 있다.
대구는 18일 오후 7시 30분 대구iM뱅크PARK에서 열린 하나은행 K리그1 2025 22라운드 홈경기에서 김천 상무에 2대 3으로 졌다. 이로써 대구는 '11경기 무승'(4무 7패)이라는 참담한 기록을 이어갔다.
같은 날 수원은 홈에서 광주FC를 2대 1로 누르며 승점 19을 확보, 대구(승점 14)와의 승점차를 2에서 5로 벌였다. 특히 수원은 이날 승리로 '6경기 무승'(2무 4패) 기록을 벗어나면서 대구와 대조적인 행보를 보였다.
대구의 공격력은 이날도 활기를 띄었다. 어김없이 '해결사' 세징야가 선제골을 터뜨리는 등 '하드 캐리'하며 대구 공격의 선봉장 역할을 했다. 세징야는 부상 복귀 후 2경기 연속 골을 만들어내며 자신의 이름값을 십분 해주고 있다.
문제는 수비다. 대구의 수비는 심각한 실정이다. 이날 공격에서 2골을 뽑아줬지만, 상대에게 3골을 내주는 부실함을 드러냈다. 이는 수치에서도 극명하게 나타난다. 대구는 지금껏 리그 경기에서 24골을 넣으면서 21~25골을 기록하는 중하위권 팀들과 별 차이가 나지 않는다. 그러나 실점은 무려 40으로, 실점에서 2위를 달리는 FC안양(실점 30)과도 10골차나 난다. 이로 인해 대구의 골득실차는 16으로, 압도적으로 벌어져 있다.
이런 공수간의 불균형이 심하면서 대구는 상대팀들에게 속칭 '좋은 먹잇감'이 되고 있다. 상대팀들은 대구를 '승점 쌓기'의 제물로 여기면서 대구와의 경기에서 악착같이 승점을 얻기 위해 분전을 펼치는 모습이 역력하다. 그 만큼 대구로서는 1경기를 이기기조차 어려워지고 있는 것. 이제 11경기만을 남겨둔 상황에서 무너진 대구의 수비력을 개선하지 않는다면 사실상 꼴찌 탈출은 어려워 보인다.
이날 폭우가 쏟아지는 가운데 전반전이 시작됐다. 그라운드에 물이 차고 미끄러워지면서 양 팀 선수 모두 경기를 진행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반면 이런 변수를 활용해 양 팀 선수들은 평소보다 중거리슛을 많이 시도했다.
전반 시작과 함께 양 팀은 조심스럽게 경기를 진행했다. 그러다 세징야의 한 방이 터지면서 경기의 박진감이 살아났다. 전반 18분 세징야가 시원한 중거리 슈팅으로 선제골을 터뜨리며 대구가 리드를 잡았다. 이어 전반 21분에는 세징야가 길게 올린 크로스를 한종무가 헤더로 방향을 바꿨고, 문전으로 쇄도하던 김주공이 이를 다시 헤더로 마무리하며 추가 득점에 성공했다. 모처럼 대구가 2대 0으로 크게 앞서갔다.
그러나 김천의 반격은 거셌고 전반 후반 결실을 봤다. 전반 35분 김천 박상혁의 슈팅이 골라인을 아슬하게 넘겼고 VAR 판정 결과 득점으로 인정됐다. 이후 대구로서는 안타까운 상황이 벌어졌다. 전반 추가시간에 홍정운이 골문 앞 혼전 상황에서 동료와 크게 부딪혔고 부상으로 실려가면서 조진우와 교체됐다. 홍정운은 이 충돌로 광대가 함몰된 것으로 알려지면서 당분간 출전이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대구는 후반 시작과 동시에 선발로 나선 한종무 대신 에드가를 투입했다. 제공권에서 우위를 차지하면서 쐐기골을 노린 것. 그러나 오히려 김천에게 동점골을 내주며 경기 흐름이 예상치 못하게 흘러갔다. 후반 8분 김천 김강산에게 추가골을 허용하며 경기는 2대 2 원점으로 돌아갔다.
이후 대구는 김천과 '엎치락 뒤치락'하며 팽팽한 경기를 펼쳤다. 하지만 후반 추가시간 김천 원기종에게 통한의 실점을 내주며 2대 3으로 경기가 마무리됐다. 이날 승리로 수원을 제치고 순위 11위로 올라서길 기대하던 팬들에게 한숨이 나오는 경기 결과였다.
댓글 많은 뉴스
'성남도시개발공사 조례 청탁' 김만배, 대법서 무죄 확정
'전한길 입당' 지적에 신동욱 "민주당도 김어준과 얘기, 친북도 품어"
특검 압수수색에 권성동 "야당 탄압"…野 "국회의장 메시지 내라"
전한길 "尹지지 후보 없으면 내가 당대표 출마"…입당후 논란 계속
李 대통령 굳건한 지지율 이유 1위는 '경제·민생'…국힘은 19% 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