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은 '죽을 맛'…어음 부도율 석달새 10배 치솟아

입력 2025-07-20 16:17:18 수정 2025-07-20 19:00:03

5월 0.4% 10년 만에 최고치

서울 명동 거리의 한 점포가 텅 비어 있다. 국세청 국세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개인·법인을 포함해 폐업 신고를 한 사업자는 100만8천282명으로 집계됐다. 연합뉴스
서울 명동 거리의 한 점포가 텅 비어 있다. 국세청 국세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개인·법인을 포함해 폐업 신고를 한 사업자는 100만8천282명으로 집계됐다. 연합뉴스

기업들의 자금 사정 악화가 어음 부도율의 급등으로 이어지면서 경기 침체의 골이 더 깊어지고 있다.

20일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 자료에 따르면, 지난 5월 전국 어음 부도율(전자결제 제외)은 0.4%를 기록했다. 올해 2월(0.04%)에 비해 석 달 만에 10배로 치솟은 수치다. 이는 지난 2015년 3월(0.41%) 이후 10년여 만에 가장 높은 수준으로, 기업의 지급 불능 사태가 빠르게 확산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어음 부도는 기업이 발행한 약속어음이나 환어음의 만기일에 정해진 금액을 지급하지 못해 결제가 이뤄지지 않는 경우를 뜻한다. 이 같은 부도 사태가 반복될 경우, 해당 기업은 어음거래 정지 처분을 받게 되며, 심할 경우 법적 파산 절차로 이어질 수 있다.

5월 중 어음 부도 건수는 1천장으로 예년 수준과 큰 차이는 없었으나, 부도 금액은 7천880억 원에 달했다. 이 또한 2023년 5월(7천929억 원) 이후 2년 만에 가장 큰 규모다.

기업들의 자금 사정 악화는 대출 연체율 수치에서도 드러났다. 금융권에 따르면, 5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6월 말 기준 대기업 대출 연체율은 평균 0.11%로, 지난해 같은 기간(0.02%)보다 상승했다.

중소기업 대출 연체율은 같은 기간 0.44%에서 0.55%로 증가했다. 특히 5월 말에는 대기업 연체율이 0.19%, 중소기업은 0.71%까지 치솟았다가, 부실채권 매입 및 상각 등의 영향으로 6월 들어 다소 하락한 상태다.

이처럼 연체와 부도 증가가 맞물리면서 법인 파산 신청 건수도 증가 추세다. 대법원 법원통계월보에 따르면, 올해 1~5월 동안 접수된 전국 법인 파산 사건은 총 922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810건)보다 13.8% 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