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6월 자동차 산업 동항'
대미 자동차 수출 16% 감소…4개월째 감소세
유럽·아시아 수출 증가로 전체 수출 2.3% 증가
전기차 수출 21.4% 증가해 16개월만에 증가 전환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부과 등의 영향으로 대미 자동차 수출이 4개월 연속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유럽과 아시아 수출 증가로 전체 자동차 수출은 증가했다.
17일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2025년 6월 자동차 산업 동항'에 따르면 지난달 한국 자동차 수출액은 63억4천만달러로 지난해 6월보다 2.3% 증가했다. 이는 역대 6월 최대 실적에 해당한다.
지난 6월 수출 물량 감소에도 수출액이 2개월 만에 전년 대비 증가세로 전환된 것도 주목된다. 전기차와 스포츠유틸리티차(SUV) 등 고부가가치 차량 수출 증가 영향으로 해석된다.
지역별로 한국 최대 자동차 수출 시장인 미국 수출이 26억9천달러로 지난 6월 대비 16.0% 감소했다. 트럼프 행정부가 지난 4월 한국산 자동차에 품목 관세 25%를 부과한 이후 4개월 연속 감소세다.
지역별 수출액은 ▷북미 32억900만 달러(-12.8%) ▷미국 26억9000만 달러(-16.0%) ▷유럽연합(EU) 7억6500만 달러(32.6%) ▷기타 유럽 6억100만 달러(52.3%) ▷아시아 6억2400만 달러(35.6%) ▷중동 5억2100만 달러(11.9%) ▷중남미 2억3700만 달러(6.6%) ▷오세아니아 3억3400만 달러(-9.0%) ▷아프리카 4300만 달러(33.8%) 등으로 나타났다.
산업부는 "독일과 네덜란드 수출이 2배 안팎으로 증가해 성장이 두드러졌다"고 평가했다. 또 지난해 수출 부진에 기저효과와 전기차 수출 증가세, KG모빌리티의 독일, 유럽 판매 법인 신설 등도 수출 호조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봤다.
친환경차는 7만5천706대 수출해 23.1% 증가했다. 이 가운데 전기차 수출은 2만2천423대로 21.4% 증가해 2024년 1월 이후 16개월 만에 증가세를 나타냈다.
6월 자동차 내수 판매는 14만5천843대로, 작년 동월 대비 5.8% 증가했다.
친환경차 내수 판매는 7만2천660대로 36.1% 증가했다. 하이브리드차 5만1천239대, 전기차 2만307대 등 각각 37.1%, 34.9% 판매 증가세를 나타냈다.
산업부 관계자는 "하반기 임단협 결렬에 따른 생산차질 가능성, 글로벌 통상환경 불확실성 등 녹록지 않은 상황"이라며 "정부는 국내 자동차 산업이 활력을 잃지 않도록 기업과 소통하며 신시장 개척, 미래차 산업경쟁력 강화, 수출 피해지원 등을 적극 추진할 예정"이라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尹, '부정선거 의혹' 제기 모스 탄 만남 불발… 특검 "접견금지"
윤희숙 혁신위원장 "나경원·윤상현·장동혁·송언석 거취 밝혀야"
관세 폭탄에 노동계 하투까지…'내우외환' 벼랑 끝 한국 경제
김상욱, '소년 이재명 성범죄 가담' 주장 모스탄에 "추방해야"…이진숙 자진사퇴도 요구
"전작권 전환, 초기 비용만 35조원"…국힘 '정부 국방정책 점검 토론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