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일 파리 유네스코 회의서 결정
6천년 지속 증명 독보적 증거…대곡리·천전리 암각화로 구성
철저한 관리 훼손 방지 최우선
한반도 선사 문화의 걸작으로 평가 받는 울산 반구천의 암각화가 세계유산 목록에 이름을 올렸다.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는 지난 12일(현지시간) 프랑스 파리 유네스코 본부에서 열린 제47차 회의에서 '반구천의 암각화'(Petroglyphs along the Bangucheon Stream)를 세계유산에 등재하기로 최종 결정했다.
앞서 지난 5월 세계유산 후보를 사전 심사하는 자문기구 이코모스(ICOMOS·국제기념물유적협의회)는 반구천 암각화에 대해 등재를 권고하며, "반구천의 암각화는 선사시대부터 약 6천년에 걸쳐 지속된 암각화의 전통을 증명하는 독보적인 증거"라고 평한 바 있다.
또한 "탁월한 관찰력을 바탕으로 그려진 사실적인 그림과 독특한 구도는 한반도에 살았던 사람들의 예술성을 보여준다"며 "선사인의 창의성으로 풀어낸 걸작"이라고 강조했다.
반구천 일대 약 3㎞ 구간을 따라 바위에 새겨진 반구천 암각화는 국보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와 '울주 천전리 명문과 암각화'를 아우른다.
이 중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는 1971년 발견됐으며, 높이 약 4.5m, 너비 8m(주 암면 기준)의 바위 면에 바다 동물과 육지 동물, 사냥 그림 등이 빼곡히 새겨져 있다. 울산시 반구천암각화세계유산추진단이 3차원(3D) 스캔 도면, 실측 자료 등을 분석해 2023년 펴낸 도면 자료집에 따르면 총 312점의 그림이 확인된다.
특히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는 가장 오래된 고래사냥 그림으로도 잘 알려져 있다. 마치 넓은 바다를 내려다본 듯한 시선을 바탕으로 어미 고래와 새끼 고래, 작살 맞은 고래, 잠수하는 고래 등 50마리 이상의 고래를 생생히 표현했다.
또한 '울주 천전리 명문과 암각화'는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보다 1년 앞선 1970년 존재가 알려졌으며, 높이 약 2.7m, 너비 10m 바위 면을 따라 각종 도형과 글, 그림 등 620여 점이 새겨져 있다.

청동기 시대에 새긴 것으로 추정되는 마름모, 원형 등의 추상적 문양과 함께 신라 법흥왕(재위 514∼540) 시기에 남긴 것으로 추정되는 글도 남아 있어 6세기 무렵 신라 사회상을 연구할 때 중요한 자료로 평가 받는다.
반구천 암각화가 세계유산에 이름을 올리면서 향후 보존 관리가 제대로 이뤄질 지도 주목된다.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는 수십 년간 침수와 노출이 반복됐다. 반구대 지점보다 하류에 있는 사연댐의 수위가 53m를 넘으면 암각화가 물에 잠기는데, 최근 10년 동안 연평균 40일 넘게 물에 잠겨 있었던 것으로 파악된다. 암각화 훼손을 막기 위해 댐 수위 조절, 임시 제방 설치, 임시 물막이 설치 등 여러 안이 나왔으나 쉽사리 해결책을 찾지 못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진숙·강선우 감싼 민주당 원내수석…"전혀 문제 없다"
"李 '이진숙, 문제있는 것 같아 딱하다' 언급"…정규재 전언
방위병 출신 안규백 국방장관 후보자, 약 8개월 더 복무한 이유는?
"꾀병 아니었다…저혈압·호흡곤란" 김건희 여사, '휠체어 퇴원' 이유는
권영진, 국힘 대구시당위원장 후보 사퇴…"대구와 당을 위해 양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