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정부의 첫 北 주민 송환, 6명 다시 北으로

입력 2025-07-09 18:14:24 수정 2025-07-09 20:34:26

"귀환 의사 여러차례 확인, 인도적 차원 송환"
3월 서해로 2명·5월 동해로 4명 표류 어민

북한 주민들은 태운 선박이 9일 동해상에서 이동하고 있다. 정부는 지난 3월과 5월에 각각 서해와 동해 북방한계선 이남에서 구조한 북한 주민 6명을 9일 동해상에서 송환했다고 밝혔다. 통일부에 따르면 북한 주민들을 태운 선박은 오전 8시 56분쯤 동해 NLL을 넘었고, 9시 24분쯤 북한 경비정과 만났다. 연합뉴스
북한 주민들은 태운 선박이 9일 동해상에서 이동하고 있다. 정부는 지난 3월과 5월에 각각 서해와 동해 북방한계선 이남에서 구조한 북한 주민 6명을 9일 동해상에서 송환했다고 밝혔다. 통일부에 따르면 북한 주민들을 태운 선박은 오전 8시 56분쯤 동해 NLL을 넘었고, 9시 24분쯤 북한 경비정과 만났다. 연합뉴스

이재명 정부 들어 첫 북한 주민 송환 사례가 발생했다. 정부는 올해 3월과 5월에 각각 서해와 동해 북방한계선(NLL) 이남에서 구조한 북한 주민 6명을 9일 동해상에서 다시 북한으로 돌려보냈다.

이날 통일부는 송환 과정을 상세하게 브리핑했다. 북한 주민들을 태운 선박은 오전 8시 56분쯤 동해 NLL(북방한계선)을 넘었고, 9시 24분에 예인용으로 추정되는 북측 대형 어선 1척 및 경비정 1척과 만났다. 송환 시점에 북한 경비정이 인계 지점에 나와 있었으며, 북한 선박은 자력으로 귀환했다.

정부는 북한과 모든 대화 채널이 끊긴 상태에서 지난주와 이번주 1차례씩 유엔군사령부와 북한군 사이의 핫라인인 이른바 '핑크폰'을 통해 일시와 해상 좌표 등 송환 계획을 고지한 바 있다.

통일부는 북한 주민 6명은 모두 처자식이 있는 30, 40대 남성 어부라고 밝혔다. 아울러 한국 정부뿐 아니라 유엔군사령부 군사정전위원회, 유엔사 중립국감독위원회가 각각 개별 면담을 통해 귀환 의사를 확인했다고 전했다.

서해에서 구조한 선박은 기관 고장으로 운항이 불가능했으나, 운항이 가능하도록 수리를 마쳤다. 또 동해상을 송환 장소로 정한 것은 북한의 뚜렷한 응답이 없는 상황에서 육로 송환을 하면 불필요한 긴장을 촉발할 수 있다는 점이 고려됐다.

한편,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대북제재 결의안 2397호에 따라 북한으로의 기계류 수출이 금지된 만큼 선박용 새 부품을 제공하진 않았으며 기존 부품을 세척해 재사용했다. 이번 운항에 필요한 기름은 우리 정부가 제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