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함도 의제 채택 실패에…나경원 "철 지난 '친일·반일' 구호 아닌 치밀한 외교 전략으로 맞서야"

입력 2025-07-08 18:09:18

"외교 전략의 부재와 준비 부족이 빚은 뼈아픈 결과"

국민의힘 나경원 대선 경선 후보가 21일 대구 중구 대구시의회 회의장에서 기자간담회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민의힘 나경원 대선 경선 후보가 21일 대구 중구 대구시의회 회의장에서 기자간담회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최근 일본의 군함도 관련 후속 조치 이행 상황을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가 평가하자는 한국의 제안이 일본 측 반대로 정식 안건으로 채택되지 못한 것과 관련해 나경원 국민의힘 의원이 "국제사회 설득을 위한 외교 전략의 부재와 준비 부족이 빚은 뼈아픈 결과"라고 비판했다.

나 의원은 8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이번 표결은 한일 과거사 문제를 두고 국제무대에서 벌어진 외교전이었다. 그러나 정부는 우군 확보도 못한 채, 외교 무대에서 패배의 전례만 남겼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그는 "일본은 지난 2015년 군함도를 세계유산으로 등재하면서 조선인 강제노역을 포함한 '전체 역사(full history)'를 알리겠다고 국제사회에 약속했다. 그러나 등재 이후 전시관에서는 강제징용의 진실이 철저히 가려졌고, 희생자를 위한 추모는 형식에 그쳤다"고 지적했다.

이어 "심지어 지난해 사도광산 세계유산 추진 당시에도 우리 정부는 관계 정상화를 위한 전략적 판단으로 찬성표를 던졌지만, 돌아온 것은 '강제'라는 표현조차 없는 전시와, 한국 측 유가족이 배제된 반쪽짜리 추도식이었다"며 "이런 전례가 있음에도, 국제사회에서 일본의 책임을 분명히 묻는 외교적 대비는 여전히 미흡했다"고 했다.

그러면서 "지금 필요한 것은 철 지난 '친일·반일' 구호가 아니라, 일본의 역사 왜곡을 국제적으로 바로잡기 위한 치밀한 외교 전략"이라며 "감정의 선동이 아니라, 국제 규범과 역사적 사실에 기반한 정교한 외교 전략으로 일본의 역사 왜곡에 맞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유네스코, ILO, UN 인권이사회 등 다자 외교 채널을 적극 활용해, 강제동원의 진실을 세계의 기록으로 남기고 피해자들의 존엄을 회복시켜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앞서 지난 7일 오전(현지시간)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 제47차 회의에서 일본의 군함도 관련 후속 조치의 이행 상황을 위원회가 평가하자는 한국의 제안이 일본의 반대 끝에 결국 정식 안건으로 채택되지 못했다.

과거사를 두고 초유의 한일 간 표 대결까지 벌어졌지만, 일본의 군함도 후속 조치를 유네스코가 다시 평가해야 한다는 한국의 주장보다는 한일 간 양자 차원에서 해결할 문제라는 일본 측 주장에 표심이 더 몰린 것으로 전해졌다.